소개글
"iq 체크리스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Q 체크리스트
1.1. 대상자 기본정보
1.2. 건강관련정보 요약
1.3. 환경적 낙상위험요인 요약
1.4. 간호진단 목록
1.4.1. 간호과정
1.4.2. 간호과정
2. 영재아의 진단, 영재 판별방법 및 검사
2.1. 표준화검사
2.1.1. 지능에 따른 판별
2.1.2. 창의성검사
2.1.3. 성취도검사
2.1.4. 적성검사
2.2. 행동특성 평정척도
2.3. 교사 혹은 부모의 추천
2.3.1. 교사의 추천
2.3.2. 부모의 추천
2.4. 지속적인 관찰 혹은 포트폴리오
3. 아동 발달 평가 방법
3.1. 관찰
3.2. 체크리스트 및 평가 척도
3.3. 표준화된 검사
3.4. 인터뷰
3.5. 포트폴리오 평가
3.6. 자기 보고
4. 아동 발달 이해와 설명 시 유의점
4.1. 개개인의 차이 인정
4.2. 홀리스틱 접근
4.3. 환경 요인 고려
4.4. 변화를 감안
4.5. 적절한 평가 도구 사용
4.6. 긍정적 관점 유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IQ 체크리스트
1.1. 대상자 기본정보
최○○은 여성으로 1964년에 태어났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농부로 직장을 다니고 있다. 기독교 신자이고, 기초수급자로 농촌의 자가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기혼 상태이며, 지적장애 3급의 아들과 함께 살고 있다.
1.2. 건강관련정보 요약
질병력 및 투약상태
대상자는 심한 지적장애(장애인 등급: 3급)로 평가되며, 고혈압과 당뇨병을 앓고 있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현재 치료 중이며,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
식생활은 양호한 편으로, 하루에 3회 식사를 한다. 그러나 고나트륨 식이 습관이 있어 된장찌개, 젓갈류, 김치 등을 자주 섭취한다.
개인위생 상태와 집안 청소 상태가 미흡한 편으로, 경미한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1회 양치질을 하며, 최근 1년 내 구강검진을 받지 않았다.
신체활동 수준은 매우 낮은 편으로, 1주일 동안 숨이 가쁜 격렬한 신체활동, 심박동이 증가하는 중등도 신체활동, 10분 이상 걷기, 스트레칭과 같은 유연성 운동, 팔굽혀펴기나 윗몸일으키기 등의 근력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
사회활동의 경우, 남편과의 갈등과 지적장애를 가진 아들로 인한 스트레스가 있다. 최근 종교활동을 시작하였으나 그 외 사회활동은 없는 편이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보면,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영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 요리, 빨래, 외출, 금전관리 등의 영역에서 어려움이 있다.
노인우울 검사 결과, 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정상 범위에 속한다.
1.3. 환경적 낙상위험요인 요약
집안 전체 항목
문턱, 계단이 있는 출입구나 현관, 방과 부엌사이 등이 있다. 이런 문턱이나 계단의 높이가 낮지 않다. 방, 부엌 등 주로 생활하는 공간의 조명이 어둡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외부로 나가야 하는 화장실이나 부엌이 있다. 전화기는 쉽게 받을 수 있는 곳에 있지만, 전화코드나 전선이 노출되어 이동시 걸릴 위험이 있다. 물건이나 가구가 나와 있어 이동시 걸리거나 부딪힐 수 있다. 돗자리, 장판 등이 헐거워져 발에 걸릴 수 있다.
방과 부엌 항목
잠자는 곳 머리맡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방의 표면이 미끄럽지 않다. 부엌바닥도 미끄러지기 쉽지 않은 재질로 되어있다. 주방에 자주 사용하는 물건이 손쉽게 닿는 곳에 있다.
화장실 및 욕실 항목
화장실 바닥이 미끄럽지 않으며, 화장실 변기 또는 욕조 주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 조명이 눈부시거나 어둡지 않고, 배수시설도 잘 되어 있다. 욕실 신발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기 쉽지 않으며, 화장실 바닥에 미끄럼방지 깔개가 있다. 변기 주변에 안전 바가 설치되어 있다.
집주변 항목
집 주변이나 주로 다니는 길에 경사진 곳이나 표면이 고르지 않은 곳이 없다. 집 주변이나 다니는 길의 조명이 밤에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다. 물건이 흐트러져 발에 걸릴 수 있는 곳이 없으며, 계단이나 경사진 곳에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나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계단이나 경사진 곳의 바닥에 미끄럼 방지 시설이 되어 있다.
1.4. 간호진단 목록
1.4.1. 간호과정
대상자는 다음 가정방문(4회차)까지 고혈압의 개념과 정상 범위를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다음 가정방문(4회차)까지 스스로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대상자는 다음 가정방문(10회차)까지 올바른 방법으로 고혈압 약 복용 실천율 95% 이상 달성한다. 대상자는 다음 가정방문(10회차)까지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운동 및 식이요법을 달성율 각각 80% 이상 달성할 수 있다. 대상자는 마지막 방문간호(8회차)까지 혈압 측정 결과 130/90 이하로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다음 방문간호 시(10회차)까지 객관적, 주관적 통증정도(NRS 점수)가 3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대상자는 다음 방문간호 시(5회차)까지 통증유발요인에 대한 방법을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다음 방문간호 시(10회차)까지 관절 통증관리 행동을 80% 이상 실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혈압 측정, 투약확인, 활력징후 측정, 채혈검사, 요구도 조사, 행동체크리스트 점검 및 확인, 복약지도, 고혈압 교육, 대증적 요법 적용, 경피적 신경 자극치료 등의 간호 중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의뢰와 연계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이러한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2. 간호과정
간호과정은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방법이다. 첫째,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간호요구를 사정하고 진단을 내린다. 둘째, 간호과정의 목표와 결과를 설정한다. 셋째, 대상자의 목표 달성을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한다. 넷째, 간호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한다. 이와 같이 간호과정은 문제 확인, 목표 설정, 중재 계획 및 수행,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간호사는 이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과정은 간호실무의 핵심이 되며, 간호사가 전문성을 발휘하는 데 필수적인 방법이다.
2. 영재아의 진단, 영재 판별방법 및 검사
2.1. 표준화검사
2.1.1. 지능에 따른 판별
일회적 검사 실시를 통한 영재 판별 기준으로는 지능지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지능지수를 영재 판별의 준거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많은 심리학자들은 지능검사가 아직까지는 인간 지능의 일부이나마 비교적 타당하고 유용하게 측정한다는 점에서 영재를 판별할 때 지능지수 이외의 다른 기준과 병행하더라도 지능지수에 큰 비중을 두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지능검사 점수는 일정 구간...
참고 자료
이주영 (2006). 방문간호 관리에 따른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 이행의 차이. 충남 대간호학술지, 9권(1호), p.53~62.
소애영 (2008). 고혈압 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권(6호), p.822~830.
이현정(2004). 보건소 개인건강교육이 고혈압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간호학회지, 18권(1호), p.80~89.
양순옥(2011).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관절염 사례관리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151~161.
이은영(2003). 퇴행성관절염 노인환자의 통증,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과의 관계(석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김정순(2014). 발반사 마사지가 골관절염 재가 여성노인의 관절통증, 관절강직,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권, 3호, p.207~216.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3판.』 서울 : 현문사
최연희 외.(2016).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경기 파주 : 수문사
최연희 외.(2016).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경기 파주 : 수문사
지역사업팀(2013.03.15.).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재단. 2011년도 집중건강관리 표준 매뉴얼. Retrieved from
https://www.khealth.or.kr/kps/publish/view?menuId=MENU00890&page_no=B2017003&pageNum=1&siteId=&srch_text=%EA%B4%80%EC%A0%88&srch_cate=&srch_type=ALL&str_clft_cd_list=&str_clft_cd_type_list=&board_idx=6938
대치노인복지센터(2021.04.09.). [복지] 퇴행성 관절염 예방교육 무릎편 진행. 강남구청. Retrieved from
https://www.gangnam.go.kr/board/gndcsenior_news/4132/view.do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진천군장애인복지관. 사업안내. Retrieved from
https://jcwelfare.kr/sub02_5.php
진천군보건소. 사업안내. Retrieved from
https://www.jincheon.go.kr/health/sub.do?menukey=695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21년). 진천군보건소.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2019년) 시행결과 및 2차년도(2020년) 시행계획(안). 진천군보건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https://m.blog.naver.com/dkstpdyddlqslek/221499544850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kyd0415&logNo=222325489735&targetKeyword=&targetRecommendationCod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