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의 정서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서장애 아동 교육
1.1. 통합 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1.2. 문제행동 지도
1.2.1. 지각
1.2.2. 수업 중 큰 소리로 떠들기
1.2.3. 수업 중 돌아다니기
1.3. 사회적 기술 교수
1.4. 학습 준비 기술지도
1.4.1. 주의집중력
1.4.2. 조직력
1.4.3. 반응 정확도
2. 정서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정서장애아동의 치료와 상담
2.1. 정서장애의 정의
2.2. 정서장애의 원인 및 특성
2.3. 정서장애아의 치료 및 상담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서장애 아동 교육
1.1. 통합 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정서장애 아동의 통합 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은 다음과 같다.
정서 및 행동장애를 보이는 아동이 일반학급에 통합되는 경우, 학업성취보다는 행동지도에 중점을 두게 된다. 이들의 체계적인 행동조절을 위해서 교사는 우선 목표가 되는 행동을 확인한 후, 그 행동과 관련된 아동의 현행 수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그리고 교수법의 효력을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자료를 수집하여 교수법의 지속적 실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최근에는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수를 위해 기능적 진단 절차를 적용하는 것이 강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문제행동과 관련된 활동과 관련되지 않은 활동을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과제 참여를 장려하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궁극적으로 학업 성취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을 모방하여 성공적으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일반 아동의 준비 또한 필요하다. 특히 이들 아동의 문제행동이 가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프로그램에 부모의 참여를 유도하여 가정에서의 행동지도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는 구체적인 행동문제와 이를 다루는 교수 프로그램에 대해 부모와 정기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이해 및 참여를 촉구함으로써 행동지도의 일반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2. 문제행동 지도
1.2.1. 지각
대부분의 지각하는 학생은 수업 전반을 늦은 시간만큼 제대로 듣지 못하게 된다. 또,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나 다른 또래 아이들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그러므로 지각이 잦아진다면 그렇게 지각을 하는 학생의 행동을 부적절한 행동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또,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각하는 습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한 지각하는 태도를 고칠 수 있도록 애써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출석부를 교실 출입문 근처에 두어 아동이 교실에 도착하면 스스로 이름과 도착 시간을 기록하게 할 수 있다. 지각하는 아동에게는 지각 사유를 쓸 수 있는 란에 지각 사유를 쓰게 하도록 한다. 또, 아동들이 관심 있어 하는 수업을 1교시에 두어, 지각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그리고 정시에 도착하는 아이들에게는 보상을 해 주도록 하는 것도 좋다. 또, 계속적으로 지각을 한다면 그 아동의 부모를 불러 아동이 앞으로는 지각을 하지 않도록 신경 써 줄 것을 당부 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 지각하는 학생들의 태도나 마인드를 바꾸어 나갈 수 있다.
1.2.2. 수업 중 큰 소리로 떠들기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이 수업 도중에 큰 소리로 떠든다면 수업하는 선생님과 수업에 집중하고 있는 다른 아이들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 수업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주위 친구들과 수업과 관련 없는 내용을 가지고 떠들거나, 노트에 친구들과 우스갯소리를 적어가며 돌려 보며 낄낄거린다든지, 친구와 언성을 높이거나 한다든지 하는 일이 잦다면 선생님은 수업을 제대...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