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유아의 안전은 그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유아기는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시기로, 특히 호기심과 활동성이 많은 유아들은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해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유아 안전사고의 예방과 대처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유아 안전교육은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기술을 체계적으로 습득시켜 다양한 상황에서 스스로 안전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 안전교육의 범위는 유아들이 자주 노출되는 실내외 환경, 가정, 교통, 건강, 폭력 예방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며, 설명, 시연, 토의, 역할놀이, 모델링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2. 유아 안전사고의 현황 및 안전교육의 필요성
유아를 돌보는 현장에서 항상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바로 안전이다. 유아들은 발달특성상 호기심이 많고 활동성이 높지만 아직 신체적인 조절능력이 부족하여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어떤 것이 안전한 것인지 위험한 것인지에 대한 지식이나 판단력도 부족한 편이며 주위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외부의 영향에 의해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는데 유아의 부주의에 의한 경우든 사고에 의한 경우든 실제로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도 성인에 비해 피해의 정도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위험한 환경 안에서의 대처 역시 미숙하고 신체적 능력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변 성인들은 유아의 안전에 대해 항상 신경을 써줄 필요가 있으며 유아들에게 지속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에 대한 예방과 대처방법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2019년 국회 보건복지위원 인재근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4년부터 108년까지 5년 동안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3만7천여건으로 연평균 7천4백여건이었다. 즉 하루 평균 20건 이상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이며 안전사고 중에는 사망사고도 38건에 이르렀다. 또 다른 자료에 의하면 소아과를 방문하는 환자의 70%가 안전사고에 의한 경우이다. 소아 사망 역시 감염증에 의한 사망은 크게 감소하는 대신 사고 등에 의한 사망이 늘어나고 있다.
기술이 발달하며 과거와 다른 전혀 새로운 위험도 발생하고 있다. 자동차 등에 의한 교통사고와 함께 최근 통학차량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에 대한 사례가 늘고 있으며 특히 통학차량 갇힘 사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세탁기와 같은 기계의 개발로 유아들이 세탁기에 들어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냉온수기 등으로 인한 화상사고도 발생하여 최근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실제로 안전에 대한 여러 가지 사항들은 생활습관에 가까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