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리턴 치료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의사소통의 정의
1.2. 의사소통의 과정
1.3. 의사소통의 유형
2. 치료적 의사소통
2.1. 치료적 의사소통의 정의
2.2. 치료적 의사소통의 목적
2.3. 치료적 의사소통의 속성
2.4. 치료적 의사소통의 기술
3. 작품 속 의사소통 분석 및 치료적 의사소통
3.1. 영화 '리턴' 줄거리
3.2. 의사소통 분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의사소통의 정의
의사소통의 정의는 영어의 커뮤니케이션을 의미하는데, 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의사전달이라고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의사의 전달뿐만 아니라 의사의 상호유통까지도 포함하므로, 때로는 의사소통이라고 불리워지기도 한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을 의사소통이라고 번역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 왜냐하면 커뮤니케이션은 의사뿐 아니라 정보나 감정도 동시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커뮤니케이션은 의사의 일방적 전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을 통하여 비로소 소기의 성과를 올리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간호사-환자 관계에서 간호사는 도움을 주는 전문인이고 환자는 도움을 받는 사람이므로, 간호사는 대화의 중심을 환자편에 두고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표현하여 행동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목표 지향적인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의사소통은 치료적 관계를 촉진시킬 수도, 방해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의사소통 과정의 요소를 이해하여 문제해결 과정에서 환자를 도울 수 있는 특수한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1.2. 의사소통의 과정
의사소통의 과정은 전달자, 메시지, 수용자, 피드백 및 상황 등의 요소로 구성되는 일련의 상호작용이다. 전달자는 메시지를 수용자에게 내보내는 행위자로서 나름의 의도와 속성을 갖는다. 메시지는 전달자가 수용자에게 보내는 정보로서 내용과 기호, 처리로 이루어진다. 수용자는 전달자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개인 또는 집단이며, 메시지 뿐 아니라 의사소통의 속성과 매체의 특성도 함께 받아들인다. 피드백은 전달자에게 되돌아오는 수용자의 반응으로, 전달자가 수용자의 반응을 평가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보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황이란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시대적, 지리적 맥락을 의미하며 의사소통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의 과정은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1.3. 의사소통의 유형
의사소통의 유형은 크게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눌 수 있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구어와 문어로 구분되는데, 구어는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대화를 하는 것이며 문어는 문서 등의 매체를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인간 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사소통 방식이지만, 언어에 대한 이해와 사용 방법, 개인의 정서적 상태 등에 따라 동일한 단어라도 다른 의미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생활 경험이 유사한 집단 내에서 의사소통이 더욱 원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도 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 이외의 모든 의사소통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매우 광범위한 의사소통을 포함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는 목소리 톤, 표정, ...
참고 자료
네이버 영화 시리즈온 “리턴”
제9판 정신간호총론(2023) 김성재 외 공저 수문사
이소우, 임숙빈/『간호이론과 실제에서의 의사소통론』/대한간호협회 /1998/p86~97
이광자 외/『의사소통과 간호』/신광출판사/1999/p32~36, 42~43,
김후자 외 4명/『전문직 커뮤니케이션과 인간관계』/수문사/2001/p275
도복늠 외 8명/『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정담/1998/p193,197
이민석, 우수 인재 채용전략과 노무관리 (인재 채용의 시작에서 마무리까지 전체 흐름을 한눈에), 미래와경영, 2021.03.25.
김민구, 글로벌 인재로 향하는 해외영업 입문, 율도국, 2016.12.26.
상식연구소, 중요한 용어만 한눈에 보는 경제용어사전 1007 (공기업/언론사/기업체/공무원 채용대비), 서원각, 2022.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