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급, 중급, 고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제안하고자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의 활용 현황
2.2.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제안
2.2.1. 초급 학습자
2.2.2. 중급 학습자
2.2.3. 고급 학습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를 학습하다 보면 문학작품을 접하는 경우가 있다. 문학작품은 그 나라의 사회문화와 시대상 그리고 작가의 사상까지 들여다볼 수 있으며, 다양한 지식을 문학에서 배울 수 있다. 이러하여 문학작품은 언어를 배우는 것에 있어 아주 좋은 매개체이며 또한 읽기 연습과 독해 능력도 올릴 수 있는 좋은 교육 자료이다. 하지만 단순히 문학작품이라고 해서 모든 작품이 모든 학습자에게 맞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에게 '용비어천가'나 '청산별곡'같이 어려운 작품을 권할 수 없는 것처럼, 학습자의 수준에 맞춰서 문학작품을 선정해야 학습자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그러므로 한국어 수업에 어떤 문학작품을 선정할 것이냐는 것과 어떤 작품을 선택하여 어떤 학생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 같다.
2. 본론
2.1.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의 활용 현황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의 활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학작품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학작품보다 다양하지 않다.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서는 초급보다 중급 이상이 되어야 문학작품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초급에서는 학습자의 이해도가 낮으므로 초급 2-3 단계가 되어야 간단하고 짧은 전래동화 정도를 볼 수 있고 중급과 고급으로 단계가 올라갈수록 긴 전래동화, 고전문학 또는 근현대 수필을 볼 수 있다. 문학 작품은 교재에서 '읽고 쓰기' 부분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교재 단원의 주제와 비슷한 맥락을 가진 문학을 기재한 것을 볼 수 있다. 초급 단계에서는 대부분 초급 2 이상부터 한국 문학작품을 접할 수 있고, 중급 단계로 올라갈수록 더 많은 문학작품을 볼 수 있으며, 고급 단계로 갈수록 다양한 현대 문학작품을 접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작품의 활용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2.2.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제안
2.2.1. 초급 학습자
한국어를 처음 접하는 초급 학습자의 ...
참고 자료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김서형(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 학술논문)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윤여탁 (서울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적합성 판단과 기준 – 한국어 연수생의 문학작품 수업 을 바탕으로> 이소영, 고경민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2011)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충화 학위논문(박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2014.02)
이인화(2019), 한국어교육 교재의 문학작품 수록 양상 분석, 국어교육 166, 한국어교육학회, 237p~278p.
윤여탁, 우재영(2007),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 (2007) ,서울대학교
윤여탁, 유영미, 박은숙(2014),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연구공모사업
윤여탁(2003),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김종수(2018),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 문학 교육의 한 사례, 경희대학교
강충화(2014),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선대학교
최효원(2016),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최희숙(2015),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수록어린이문학작품 선정기준연구,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하채현(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교육의 한 방법-해외 한국 문학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6권2호, 311-331쪽
네이버 지식백과 . “진달래꽃” 검색 내용 참고
김정우(2009),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재 개발 방향, 이화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