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 바람직한 상호작용 목적 중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
1.2. 영유아 교수학습에서의 상호작용
1.3.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본론
2.1. 영유아기 상호작용의 목적과 중요성
2.2. 영유아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상호작용
2.3. 영유아 대상 교사 발문의 사례
2.3.1. 일상생활지도에서의 바람직한 발문
2.3.2. 놀이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발문
2.3.3. 그림책 읽기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발문
3. 결론
3.1.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언
3.2.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의 중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
영유아기는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언어적 발달의 모든 면에서 결정적 시기이다. 이 시기 부모, 교사, 또래 등 주변 사람들 그리고 그 외 물리적인 주변 환경과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은 영유아가 애착을 발달시키고 자기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사회성을 발달시키면서 자신이 속한 사회 속에서 적절하게 살아가는 토대를 만든다. 이처럼 영유아기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기여하고 영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언어적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1.2. 영유아 교수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인재상에는 창의적인 인재라는 말이 빠짐없이 등장한다. 이에 따라 창의력 수학, 사고력 수학 등 다양한 사교육이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창의성은 돈을 주고 사거나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어린 시절부터 놀이를 통한 몰입과 창의적 사고 과정을 경험할 때 발휘할 수 있다. 충남 교육청에서는 놀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공동 교육과정을 실시하여 아이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영유아기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기여하고 영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언어적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가정에서 가족 중심의 사회적 환경에서 점차 부모 외의 성인, 또래 집단 등 외부 세계와의 관계로 확대되면서, 영유아들은 유아 교육 기관을 다니면서 교사나 또래들과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이때 영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질은 유아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교사는 일상적인 순간마다 영유아들을 보살피고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이 영유아의 정서적 안정, 자기 신뢰감, 학습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시기의 관계를 통한 사회화 경험이 영유아 발달의 각 측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영유아기 교사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익히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에서의 적절한 행동 방식과 표현 방법을 습득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교사의 상호작용 방식은 영유아의 상호작용 방식의 모델이 되므로, 교사는 영유아를 잘 관찰하고 적절히 반응하며 신뢰하고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는 영유아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고, 긍정적인 발달 환경을 조성하여 그들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자유선택놀이 시간은 영유아의 언어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을 위한 교수·학습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시간대로, 교사는 적절한 발문을 통해 영유아와 소통하고 또래 간 상호작용을 유도해야 한다. 교사가 영유아의 선택을 존중하면서도 놀이가 심화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소극적인 영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모델을 제시하는 등의 발문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사-영유아 ...
참고 자료
김향자, 연미희, 이현옥(2023). 영유아 발달과 교육, 도서출판 공동체.
안수연(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와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숙자(2006). 유아변인별 교사의 호감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옥(2020). 유아교육 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금구, 이영애(2018). 영유아 교수 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한동옥, 최윤정(2020). 민감한 반응이 아이를 키운다: 영유아- 교사의 질적 상호작용 실제. 도서출판공동체.
김지현. 담장 넘은 교실… 공동교육과정으로 ‘도움 주고 도움 받고’. 충청투데이. (2022.09.19.).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8039
임우영.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