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은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양반을 꿈꾸었던 한 노비 가계의 2백 년 이력을 기록한 것이다. 김수봉이라는 노비의 가계와 그를 둘러싼 주변 인물들을 추적하는 데 활용된 주요 자료는 ‘호적대장’이다. 양반이나 국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진 노비들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은...
유교적 전통과 맞닿아 이는 양반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살피다!
「조선 문명의 힘」제1권 『미야지마 히로시의 양반: 우리가 몰랐던 양반의 실체를 찾아서』. 이 책은 한국인의 삶 속에 깊숙이 스며 있는 유교적 전통을 ‘양반’에서 찾아 양반의 역사적 실체를 정밀하고 풍성하게 복원해 내었다.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유교적인 예가 민중에 침투해 들어간 것은 조선시대 후기 18-19세기 이후의 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주자학의 이념을 생활 속으로 끌고 간 주체는 누구이며,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양반계층 중에서도 재지양반계층의 형성과정을 밝히면서 이야기한다.
15-16세기 재지양반층이 광범위하게 형성하게 되고, 18-19세기에는 양반적 가치관이 향리, 서얼 등 중간계층과 농민들에게까지 침투해 양반지향 사회가 성립됐음을 보여준다. 때문에 재지양반층이 농촌 지역에 널리 분포한 것이 사회 전체에 유교 이념을 침투하고 유교적 생활습관이 정착되었음을 주장한다. 저자는 한국의 유교적 전통이 중국을 존숭하는 민족성이 아닌 역사적 형성물임을 이 책을 통해 보여준다.
〈양반전〉은 박지원의 글 중 가장 널리 읽히는 것입니다. 원래 한문 소설이지만,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한자 어휘는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고쳐 썼습니다. 〈허생전〉,〈호질〉,〈열녀 함양 박씨전 병서〉,〈광문자전〉역시 수백 년전의 소설이지만 지금의 사회 문제와 함께 해석할 수 있는 내용이...
『양반전ㆍ민옹전ㆍ광문자전』. 이 시리즈는 아이들이 옛사람의 지혜와 생각이 담긴 고전의... 이 책에서는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의 고전소설 <양반전>과 <민옹전... 뒷부분에는 해설을 수록하여 <양반전>과 <민옹전>, 그리고 <광문자전>에 담긴 옛사람이 남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