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과 메이지의 시대』는 이와 같은 고종과 조선의 운명을 고종의 개인적인 능력에 국한하지 않고 ‘전환기’라는 세계사적 흐름에서 조망한다. 조선과 일본 앞에 산적한 수많은 문제와 사건, 그리고 두 나라의 정국을 주도한 인물들의 인식과 해결을 위한 노력 등을 세밀히 살핌으로써, 을사조약이...
괴짜 교수 사이토 다카시의 공부 혁명!『내가 공부하는 이유』는 일본에서 손꼽히는 교육심리학자이자 문학·철학부터 비즈니스 대화법·인간관계까지 종횡무진 경계를 넘나들며 공부하는 메이지대학교의 괴짜 교수 사이토 다카시의 저서이다. 예상치 못한 위기가 닥칠 때마다 공부를 통해 성장해 왔다는...
서울대 이태진 교수가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이야기. 저자가 2004년 6월 24일부터 7월 15일까지 일본 동경대학 고마바 캠퍼스 총합문화학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가진 집중강의의 녹음을 그대로 옮긴 책이다. 메이지 일본의 한국침략사를 살펴보며, 일본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잡고자 했다.
『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는 메이지 계몽주의 시대를 둘러싼 역사를 전면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메이지 4년에 국가적 사명을 띠고 요코하마항을 떠나서 약 2년간 미국과 유럽을 시찰한 이와쿠라 사절단과 그 공적 보고서 '특명전권대사미구회람실기'를 담았다. 이를 통해 구미의 근대문명ㆍ문화를 일본이 어떻게 주체적으로 받아들이려고 했는지 알아본다.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단선적인 시선과 편견을 날카롭게 살피다!서울대 교수들이 들려주는 명품 인문학 강의 시리즈 「서울대 인문 강의」 제6권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이 책은 일본사 연구가이자 서울대 동양사학과 박훈 교수가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 유신에 이르는 정치 변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