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다는 승계부정이론이 나타나게 되었다.2. 비엔나협약상의 국가승계1978년 8월 23일 채택된 “조약에 대한 국가승계에관한비엔나협약” 제 2조 1항(b)와 1983년 4월 8일 채택 ... 든 연방국가형태를 취하든 이는 모두 국제법상 1978년비엔나협약 제31조에 명시된 국가승계가 일어나게 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이에 대해 북한이 주장하는 연방제 안은 1국 2체제 ... 된 “국가재산?국가문서 및 국가부채에 대한 국가승계에관한비엔나협약” 제 2조 1항(a)에서는 국가승계를 “영토의 국제관계에 대한 책임에 있어 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대체하는 것
의 승계가 문제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978년조약승계협약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남북한 통일과 국가승계에 대해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2. 법 원국제법위원회의 주도로 조약승계 ... 국가승계Ⅰ. 서 론1. 의 의국제법상 국가승계라 함은 일정한 영역에 대한 통치권이 영토주권 변경으로 타 국가에 승계되는 것이다. ‘조약승계협약’은 ‘영토의 국제관계 책임이 1국 ... 협약(1978)과 국가재산, 문서, 채무승계협약(1983)이 채택되었으나, 국제실행상 지지를 받지 못하고 미발효 상태이다. 따라서 국가승계관련 사례에서는 여러 학설과 관행을 포괄
국가승계의 이론과 남북통일과정에서 나타나는 국가승계의 문제점Ⅰ. 서론1978년 8월 23일 채택된 “조약에 대한 국가승계에관한비엔나협약” 제 2조 1항(b)와 1983년 4월 ... 해서만 발효 중이던 전임국가의 조약은 오로지 당해 신국가에 대해서만 효력을 지속한다.그런데 1978년비엔나협약에서 분리독립과 분열을 구분하지 않고 국가분리로 포괄하여 국가분리 ... 8일 채택된 “국가재산?국가문선 및 국가부채에 대한 국가승계에관한비엔나협약” 제 2조 1항(a)에서는 국가승계를 “영토의 국제관계에 대한 책임에 있어 한 국가가 다른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