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수 없는 율도국 대목이 매우 많은 정우락본을 선택하여 비교해보았다.). 서사구조 변개 양상 비교0) 원전의 서사구조원본의 줄거리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홍길동은 조선조 세종 ... 시대적 배경 및 인물간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설명함으로써 홍길동전 원전이 가지는 내용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서사 구조가 완벽히 등장하긴 하지만 개별 서사구조를 확대?축소하는 과정 ... 으로 출판되며 변개되는 원인을 우선 살펴본 후 원전과 현대 판본들의 서사구조, 인물 변화 양상 및 주제를 비교함으로써 그 변화의 정도를 발견해 보려 한다.현재 유통되고 있는 홍길동
다른 본에는 들어 있지 않다.2) 경판 24장본경판 24장본은 정주동 교수가 『홍길동전 연구』의 부록으로 현대 활자로 옮겨 놓은 것이 있어 일찍부터 작품연구 대본으로 가장 많이 이용 ... 의 확정 않았다고 볼 수는 없음.2.4 현전 홍길동전 허균 창작의 새로운 근거① 이식의 기록- 세상에 전하기를 수호전을 지은 사람은 삼대가 귀머거리 벙어리가 되고 도둑들이 그 책 ... 을 높였다고 한다. 허균과 박엽 들이 그 책을 좋아하여 도둑 장수의 별명을 각각 차지해 호를 삼고 서로 어울렸다. 허균이 또 홍길동전을 지어 수호전에 비겼는데...(택당별집)②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