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A군은 몇 달 전부터 B양을 스토킹하고 있습니다. A군은 B양에게 지속적으로 접근하거나 따라다니거나 진로를 막아서기도 하였고, B양의 주거, 직장, 학교, 그 밖에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 또는 그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B양을 지켜보기도 하였습니다. 참다 못한..
에의 구속 필요성 why? 시민의 자유와 권리 보호(2) 타당성의 법적 근거헌법§12제1항) 명확성 원칙, 관습형법 금지 / §13제1항) 소급효 금지 원칙,동일범죄에 대해 거듭 ... 처벌 X형법§1제1항) 행위시법주의(3) 사상적 배경: 계몽주의(4)내용1) 법치국가 원칙: 정당한 법률 없이 범죄도 형벌도 없다 ⇒ 정법의 요구2) 체계i) 관습형법 금지(형사 ... 규범에 위임포괄적 위임X, 형사처벌X 피고인에게 유리한 경우에만 ex. 선생님 말 안들어서 매맞음,사회상규 상 폭행X,처벌X(판)↔피고인에게 유리한 관습법의 허용은 형법이론
20000000 법학과 OOOI. 직무질문과 소지품검사, 영장에 의한 수색의 범위(5점)[설문]사법경찰관 A는 필로폰 밀매자들이 배회하는 술집부근을 순찰하다가 필로폰을 거래하는 자로 의심하고 있던 甲이 술집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것을 보고 甲이 필로폰을 밀매하였다고 판단..
형법총론 판례평석 과제물-서울남부지법 2019.09.23. 선고 2019고합127 판결-목차Ⅰ. 서론Ⅱ. 평석Ⅲ. 결론Ⅰ. 서론본 평석은 국민참여재판으로 진행된 서울남부지방법원 ... 되어 형법 §21 ②의 과잉방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그 행위가 과잉방위라면 피고인이 처해진 상황이 그 행위가 형법 §21 ③의 야간이나 그 밖의 불안한 상태에서의 공포, 경악, 흥분 ... , 당황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3. 판시 내용이 사건에 대하여 제1심인 서울남부지방법원은 피고인의 각 행위를 형법 제21조 제1항의 정당방위에 해당하는 행위로 보았고, 설령 그 행위
시의 법률에 의하여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는 행위로 소추되지 아니한다』(4) 형법 제1조 1항이 『범죄의 성립과 처벌은 행위시의 법률에 의한다』IV.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 : ① 법률주의 또는 관습형법금지의 원칙, ② 소급효금지의 원칙, ③ 명확성의 원칙, ④ 유추해석금지의 원칙, ⑤ 적정성의 원칙1. 법률주의(1) 법률주의의 의의1) 법률이란 국회에서 제정 ... 어서는 행위의 가벌성이 소멸되었으므로 처벌할 수 없지만 후자에 있어서는 가벌성이 없어지지 아니하므로 한시법의 추급효를 인정해야 한다고 한다. (대법원)II. 장소적 적용범위2. 형법의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