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의 저자인 장하준 교수는 어떤 말이 하고 싶은 것일까?착한사마리아인들은 자신에게 특별한 피해와 이익이 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난처한 상황에 처한 사람 ... .장하준 교수는 이 글에서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선진국이고, 나쁜 사마리아인들에게 이용을 당하는 사람들을 개발도상국이라고 표현하고 있다.선진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사다리 걷어차 ... 들에게 도움을 준다고 한다.하지만 여기서 사마리아인들을 ‘착하다’와 반대인 ‘나쁘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착한사마리아인들과 달리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자신의 위치에 대한 안정과 이익을 위해
기 때문에 사마라아인은 되었지만 나쁜 사마리아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돕는 동기가 순수해야 함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3) 사다리 걷어차기이기주의자 보다 몰라서 행하는 독선주의 ... 을 읽고1. 서론12. 본론1(1) 저자 - 장하준교수1(2) 나쁜 사마리아인이란?1(3) 사다리 걷어차기2(4) 세계화에 대하여2(5) 우리 경제의 돌파구는?23. 결론3 ... 해 져서, 현대인에게는 더 이상 은유로서 기능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하준교수는 ‘나쁜 사마리아인들’이라는 표현을 썼다고 본다. 돕는 목적에 보상을 기대하고 자기 이익을 포기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