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유완소는 금원사대가에서 한량파(寒?派)로 분류되며 차가운 성질을 가진 서늘한 한약재 사용을 중시 ... 하다.*유완소(劉完素, 1110년 ~ 1200년)는 중국 금나라의 의사로 자는 수진(守眞), 호는 통현처사(通玄處士), 통원처사(通元處士)이며 하간(河間, 현재의 허베이성 창저우시 허 ... 젠시) 출신이다. 그의 출신지를 따서 유하간(劉河間)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 가운데 한 사람이기도 하다.유완소는 금나라 각지를 오가면서 민간에서 의사로 근무
로 바뀐다고 생각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한량한 약을 써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술이론은 한량파의 시조가 되었고, 수백년에 걸쳐 명청대까지 영향을 미쳤다.유완소의 저작으로는 소문 ... 하간학파는 유완소를 필두로 화열병기를 이론적 기초로 하여 진단, 치료한 학파이다. 하간학파는 주로 평민 출신이었고, 주로 상대했던 대상이 일반 서민들이었다. 그래서 강력한 방법 ... 을 기초로 온조한 약을 쓰던 기존 처방들이 효과가 없었다. 그래서 유완소는 전염병을 상한이 아닌 열사의 침입으로 인식하여 화열론을 도출하였다. 그는 육기가 오래 있으면 모두 화열
열약으로 치료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때문에 그는 한량파(寒凉派)로 구분되기도 한다.열병을 치료하는 유완소의 방법들은 장중경의 방에서 나왔지만 유완소가 주목했던 것 은 寒邪의 병 ... ① 하간(下間) 학파1. 유완소 (劉完素): 유완소는 [內經 運氣七篇]을 논리적 근거로 삼고 자신만의 학설을 주장했다. 여기서 五運六氣를 질병분류의 綱領으로 삼게 되었는데 五運 ... 하는 태도를 견지하며 고대 명의들을 존경하였지만 맹종하지는않았다. 장중경이나 소원방에 대해서 과감히 비판하기도 하였다.그의 학문적 관점은 유완소(劉完素)의 설을 따랐다. 장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