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맺음말Ⅰ. 머리말현재 명문이 확실한 고구려 금동불상은 연가 7년명금동불입상, 경4년명 금동삼존불입상, 영강 7년명 금동불 광배 등 모두 3점이다. 그 외 불확실한 계미명 금동 ... ) 영강7년명금동불광배(永康七年銘金銅佛光背)(도4)1947년 평양의 폐사지에서 출토되어 현재 평양 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광배 중심부 하단에 불상을 고정하는 사각형 구멍이 있 ... 해 보인다고 할 수 있다.다음은 영강7년명금동불 광배의 명문 '永康7年歲次辛未'를 통해 편년을 추정해 보고자 한다. 명문에 辛未는 광배 양식을 고려할 때 491년(장수왕79
었다. 그것은 오늘날의 시각으로 봐도 작품성이 뛰어난 것으로 그 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영강7년명금동과배, 연가7년명금동일광삼존상 등이다. 또한 여러 가지 마구류들은 삼국시대의 기마문화 ... 은 동수가 생전에 받들었던 고국원왕의 능이고, 4세기 후반에 축조되었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이에 반에 동수설을 살펴보면, 북한의 김용준이 묵서명에 근거해 고분이 중국 전연에서 망명 ... . 덕흥리 고분안악3호 무덤을 나와 그 다음 들어간 곳이 덕흥리 고분이다. 덕흥리 벽화무덤은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에 있는 고구려 벽화무덤이다. 408년에 만든 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