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작품이다. 이들 작품에서 보인 정신세계는 전통적 유교 관점과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어항육인의 신분과 사회현실을 비추어 보면 그 사정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작품 ... 증것이어서, 필연적으로 모순적이거나 양면적인 상태로 존재하게 될 수밖에 없다.여항육인의 시조 작품들 중에는 강호자연에서 동화와 합일을 추구하고 나아가 그 속에서 흥취를 노래 ... 을 벌이기 시작하고 청구영언에 당당히 여항육인이라는 편목으로 묶일 수 있었던 사정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아직도 여전히 이들에게 있어 전통적인 시조적 구현 방식은 지배적이고 익숙해져있는 것
이다. 『진본 청구영언』을 만든 김천택은「어항육인」조를 따로 만들면서 자신을 최종점으로 하는 새로운 시조의 계열을 만들려고 시도하였다. 양란 이후 새로운 도시 문화의 담당 ... 를 지으며 소일하였다. 시조 6수가 《청구영언》,《가곡원류》,《해동가요》에 실려 전한다.『진본 청구영언』에는「여항육인」이라는 제목 아래 여항인 여섯 명의 시조를 묶어놓고 있 ... 는데, 이 여섯 명의 시인 가운데 김삼현이 속한다. 여항육인은 각각 하나의 주제를 택해 자신의 전공 영역으로 삼은 사람들이다. 장현, 주의식, 김삼현, 김성기, 김유기, 김천택이 여항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