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견제), 서경에 분사 설치(묘청의 난 이후 폐지, 조위초의 난 이후 완전 폐지), 문산계.무산계 수여, 비서성.수서원 설치(도서관)7. 목종 ) 강조의 정변(목종의 모후인 천후태후 ... 의 입조평의사사(도당)으로 개편하고 국정 문제를 총괄하게 함, 왕에 관련된 칭호가 격하됨, 원이 정동행성을 설치함(but 2차 여.몽 연합군은 태풍으로 인해 일본 원정에 실패 ... +전시)하여 신진 사대부 등용 확대, 성균관 개편(기술학부 분리, 성리학 전문 순수 유교 교육 기관으로 확대.개편, 최초 성균관 대사성-> 이색), 전민변정도감 설치(신돈 등용), 도한다.
에 대한 논문과 책을 읽어가면서 공민왕에 관계된 내용도 함께 알 수 있었다. 그러한 내용들을 이해하고 나름대로의 소감을 쓰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지만, 관련 논문 및 참고도서 ... 라느니 하여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던 인물이었다. 신돈에 대한 평가는 당시 신돈으로부터 피해를 당했던 권문세족들과 정치적으로 신돈을 반대한 인물들, 그리고 조선을 건국하고『고려사(高麗史 ... 일 것이다.또한 신돈에게는 어느 정도의 소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돈전에는 그의 무식을 혹평했으나, 이것은 신돈을 가능한 한 부정적으로 서술하려는『고려사』편찬자의 의도 때문이
궁금함으로 찾아봤는데, 조상호 사장님은 10년이 훌쩍 지났건만 도서출판 ‘나남’의 대표이사로 여전히 우뚝 서 계신다.)안타깝게도 나는 잘 모른다...호랑이가 담배를 피워댔 ... 규칙에 상관없이 민간활동에 거의 제한없이 간섭하고 있다. (4)업무와 관련하여 말썽 없는 상태를 선호하여, 무사안일과 선례답습을 당연시 한다. (5) 행정기관의 업무수행에서 비공식 ... 의 주체로 내세울 세력이 없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개혁추진을 위해 과거 출신의 신진관료층을 적극 등용했다. 신돈과 공민왕이 사라진 뒤 수구파가 정권을 장악한 상황 속에서도 이들은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