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는 삼분법론 속에서 간과한 사실들을 열거하며 이분법의 논지를 설명해 보려 한다.Ⅱ. 본론1. 이태진교수의 小 氷河期를 중심으로먼저 이태진교수의 소 빙하기에 관한 이태진 교수의 논문 ... 시기의 사회변동의 원인 역시 이러한 ‘소 빙하기’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태진 교수의 입장이다. 이러한 소빙하기의 도래가 전쟁과 같은 1차적이고 직접적인 변화의 원인이 되 ... 을 살펴보면 17세기의 역사에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가뭄, 기아, 질병등이 만연했고, 또한 사회적인 변동 및 전쟁이 빈번하였는데, 이의 원인을 기온의 일시적인 강하 현상인 ‘소 빙
이태진 교수(한국사)는 조선왕조실록 을 분석한 결과 유성 혜성 등 하늘의 이상 현상 과 지진 해일 수해 가뭄 등 자연재해가 소빙기(小氷期) 의 중심이었던 1500 1750년 ... 라고 불리고 있다는 등의 내용은 저 250년 기간의 역사가 어떠한 특징적인 사건과 그로인한 새로운 변화상이 생겨났을 것이라는 짧은 추측을 할 수 있었다.이태진 교수와 소빙기, 조선 ... 學報》, 제 149호, 1996, 208쪽이태진 교수는 이런 여러 연구 방법 중 Alvarez팀의 학설에 관심을 집중하였고, 朝鮮王朝實錄을 이용한 소빙기 연구와 외계충격 대재난설
소빙기(小氷期)(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이태진(李泰鎭) 교수 논문을 중심으로 -1. 연구의 동기와 경위소빙기는 16-17세기 또는 17 ... -18세기에 지구의 기온이 내려가 추운 날씨가 많고 이에 따라 빙하의 면적, 두께가 넓고 두터웠다는 사실을 부각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빙기(氷期)가 아니라 소빙기라고 한 것 ... 은 지금으로부터 약 100만년 전에 시작해 10만년 전에 끝났다는 빙하기에 비하면 규모가 작은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용어가 역사학에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의 문제는 세도정치의 악행 때문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있어온 대기근 소빙하시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또한 일본의 역사 왜곡의 큰 피해자인 고종에 대해 살펴보자면, 그는 조선 ... 이 책을 읽는 시간 내내 아니 식민지 사회하는 이 수업을 듣는 이번 학기 내내 속상하고 화가 나고 안타깝다. 사실을 정확히 모르고 있을 때는 그저 속상하기만 하고 식민지였다 더 ... 했으며 또한 얼마나 무지했는지에 대해 반성하게 만든다.내가 읽은 이 책은 이태진 교수님이 동경대학교 학생들에게 강의하신 내용을 옮겨놓은 것으로 책은 총 6차례에 걸친 강연으로 나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