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도사(道師)로 하고 농포(農圃)의 전서(傳緖)까지를 아우른 일계(一系)가 있고, 이소재 이명, 김서포(金西捕) 만중(萬重)으로부터 유연(流衍)된 일계 - 홍대용도 이 계(系 ... 는 학자가 있는가 하면, 종래의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실학으로 발전시킨 학자도 있으며, 서계 박세당 등과 같이 노장 사상을 기반으로 한 학자도 적지 않았다. 일정한 유파
의 해서체의 상하합책 84장(상 45장, 하 39장)이다. 판심의 어미는 상하내향흑어미이고, “완서계서포”라는 간기가 있다. 그런데 에는김동욱 소장본과 약각 다른 두 종류의 이본 ... 1846년에 간행된 것이 분명하고, 또한 본문 끝에 “오?낙셔 만?오니 살펴보?”이라는 구절로 보아 필사본을 모본으로 판각한 이본임을 알 수 있다.은 완서계서포에서 간행한 이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