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연구

*수*
최초 등록일
2008.06.19
최종 저작일
2007.05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뮤지컬 모짜르트 무료 티켓 이벤트(한 줄 사용후기 이벤트)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소개글

이 자료는 정말 힘들게 논문들을 참조하고, 분석한 것입니다.
교수님께 칭찬받은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작품의 유형 분류
1.판소리계 사설
2. 판소리계 소설

Ⅱ. 작품의 이본사항
1. 이본의 현황
(1) 시기별
(2) 내용별
(3) 형태별
(4) 번역본
2. 주요 이본
(1) 남원고사계통 이본
(2) 경판본계통 이본
(3) 완판본계통의 이본
(4) 한문본계통의 이본
(5) 창본계통의 이본

Ⅲ. 연구사 검토

Ⅳ. 줄거리 -경판본 춘향전-
- 주요 이본과 다른 점 -

Ⅴ. 의견

본문내용

Ⅰ. 작품의 유형 분류
「韓國古小說論」에서는 고소설을 傳奇小說, 擬人小說, 夢遊小說, 理想小說, 軍談小說, 艶情小說, 諷刺小說, 家庭小說, 倫理小說, 판소리계小說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의 개념과 그 대표적 작품의 성격, 공통적인 특성 등을 고찰하고 있는데, 그 중 연구하고자 하는 春香傳은 어느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까.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성어로서 판 노름에 있어서의 한 유형인 소리를 뜻한다. 이의 대본으로는 <春香歌>, <沈淸歌>, <興夫歌>, <토끼타령>, <장끼타령>, <장끼타령>, <裵婢將打令>, <壅固執打令>, <변강쇠타령>, <梅花打令>, <神仙打令>, <武叔打令>, <赤壁歌> 등 열두 마당이 있었으나 <梅花打令>, <神仙打令>, <武叔打令>은 아직 그 텍스트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판소리 사설이 문자로 정착된 것이 판소리계 소설이다. 다시 말해, 판소리계 소설이란 판소리 광대가 공연하던 판소리 대본(창본)이 소설 독자층의 요구와 강담사, 세책가, 방각본 업자의 상업적 목적과 맞물려 전사 또는 인쇄된 것으로 민중의 발랄함과 진취성을 바탕으로 한 공동작의 소산이다. 따라서 판소리 사설과 판소리계 소설 사이에는 질적 차이가 별로 보이지 않으며 부분적 차이만 있을 뿐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판소리계 소설로는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華容道>, <토끼전>, <변강쇠가>, <배비장전>, <옹고집전>, <장끼전> 등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춘향전>은 판소리계 소설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83
김석배 ,「남원고사계 춘향전의 이본 연구」(논문집 Vol.12, 1991)
김진세(편),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7
설성경,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2004
설성경, 『춘향전의 비밀』, 서울대출반부, 2001
소재영, 「고소설사의 제 문제」, 집문당, 1993
송성욱 풀이, 「春香傳」, 민음사, 2004
조희웅, 「고전소설이본목록」, 집문당, 2000
조희웅, 「고전소설문헌정보」, 집문당, 2000
조희웅, 「고전소설연구보정」, 집문당, 2005
한국고소설학회(편), 「韓國古小說論」, 아세아문화사, 1991
한국고소설학회(편), 「春香傳의 綜合的 考察」, 아세아문화사, 1991
한국고소설연구회(편),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황미연, 「춘향가 선율의 사적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춘향전 연구 10페이지
    지금까지 춘향전연구사이본의 현황, 판소리소설로써 춘향전 ... 변이양상과, 판소리소설춘향전의 대표적인 특성을 살려 판소리 춘향 ... 계 소설로서의 특징) 춘향전판소리소설이기 때문에 판소리
  • 한글파일 [고전소설]춘향전에 대한 연구 16페이지
    춘향전(春香傳)】 《목차》 〈1장〉판소리판소리소설 1. 판소리 ... 』을 좀 더 자세히 뜯어 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춘향전』을 통해 판소리 ...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등과 같이 판소리로 불리어지고 있는 일군
  • 파워포인트파일 [수업자료][고전소설][국어수업자료] 고전소설 PPT자료입니다. 총 17쪽으로 되어 있습니다. 18페이지
    : 고전소설, 염정소설, 판소리소설 2. 성격 : 서사적, 운문적 ... 용이함 4. 판소리소설의 특징 춘향과 이몽룡의 백년동락 결말(-끝 ... 있는 전통과 창조 갈래 : 소설(고전 소설, 판소리소설, 애정 소설
  • 한글파일 춘향전 감상문 2페이지
    , 줄간격 160, 50만점) 춘향전은 우리나라의 판소리고전 소설 ... . 춘향전은 현재도 창으로 불리고 있는 작품이다. 판소리소설을 통해서 판소리 ... 이다. 조선 시대 후기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춘향전판소리로 전해져
  • 한글파일 환상성으로 대변되는 춘향의 욕망 - 를 중심으로 2페이지
    17세기 후반 이후 가문소설, 영웅소설, 판소리소설에서 찾아볼 수 ... ), ?경판과 완판의 거리 - 판소리소설을 대상으로 한 사회문화적 해석 ... 환상성으로 대변되는 춘향의 욕망 필자가 분석하고 비평할 이본은 완판
  • 한글파일 한국고전소설연구 - 『광한루기』의 드러내기 묘법 연구 13페이지
    춘향전』이든 판소리 이든 이 작품은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 2. 佳人 춘향 제 3 장. 결론 제 1 장. 서 론 『춘향전』은 소설 ...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런데 소설 선행설이나 판소리 선행설 중 어느
  • 워드파일 춘향전 독후감 (국문과 전공과제) 2페이지
    지던 설화가 판소리로 향유되다가 소설로 정착된 것이며 이본은 약 100여 ...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은 판소리소설이자 국문 소설이다. 서양에 로미오와 ... 춘향전을 읽고 조선시대의 멜로드라마: 춘향전 201331042 박재희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뮤지컬 모짜르트 무료 티켓 이벤트(한 줄 사용후기 이벤트)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춘향전 연구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