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할당한다.(13)에 따라 수동동사의 경우 빈 주어자리에 의미역을 할당하지 않으므로, 목적어에 격이 할당되지 않으며, 따라서 명사구이동에 의해 목적어가 주어 자리로 이동된다. 능격동사 ... 에서 의미역이 없는 자리로 이동된다.1.2 능격동사와 명사구이동많은 동사는 자동사로도 타동사로도 쓰이는데, 그 가운데 타동사의 목적어가 자동사의 주어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 ... 한 동사를 능격동사(ergative verb)라 한다. 다음 예문을 보자.(7)a. John broke the windowb. The window broke두 예문에서 the
어의 형식을 가진다.ex. 비가 오니까 좋다. 키가 큰 학생이 찾아왔다.? 서술어와 자릿수- 1자리 서술어 : 주어만 있으면 하나의 완전한 문장을 이루는 동사로 주로 자동사를 말 ... : 주어와 목적어 외에 다른 1개의 성분(필수적 부사어)을 더 필요로 하는 서술어. ex. 삼다. 뽑다. 닮다.- 자릿수의 이동 : 능격동사(놀다)처럼 자동사가 타동사로 변해 목적 ... 어 사용되는 비자립적인 용언이다. 문법적으로 본용언에 의존하기 때문에 의존용언이라고도 한다.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가 있다.ex. 너는 이 책을 읽어 보았느냐? (‘보
)Bruzio13)에 따라 수동동사의 경우 빈 주어자리에 의미역을 할당하지 않으므로, 목적어에 격이 할당되지 않으며, 따라서 명사구이동에 의해 목적어가 주어자리로 이동된다. 능격동사의 경우 ... 은 동사는 자동사로도 타동사로도 쓰이는데, 그 가운데 타동사의 목적어가 자동사의 주어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동사를 능격동사(ergative verb)라 한다. 다음 예문 ... 고 있다. 따라서 (10b)는 비문이 된다.만약 break가 hit와 같은 부류의 동사라면 당연히 (10b)가 비문으로 판정된다. 그런데 hit와 달리 break를 능격동사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