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1998년에 「곽점초묘죽간」이란 제목을 붙여 출판하였는데, 그 책에 들어 있는 16편 가운데 도가저작으로 분류하는 「노자와」「태일생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유가 저작 ... 에 대한 새로운 인식1993년 10월 중국 호북성 형문시 곽점촌의 일호초묘에서는 많은 죽간들이 출토되어 16편으로 정리되었다. 이 죽간들이 정리 해독된 후, 중국 문물출판사는 그것 ... 를 대립적 도식이 아니라 둘 사이의 근접성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새롭게 인식하려는 학계의 움직임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2. 문제의 출발 : 곽점본의 출현 그리고 유가와 도가 사이
은 신유학의 기초를 다시 놓을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제 4장에서는 곽점 초묘에서 출토된 죽간 등을 인간 본성적 측면과 예치주의, 인륜 도덕적 측면에서 다룬다. 곽점 초간 ... 을 토대로 추론해보면 유가가 주장한 도통설이 믿을 만한 사실이라는 것과 공자→증자→자사→맹자로 이어지는 계보가 실재했던 것임을 알게 된다.곽점 《노자》에는 초기 도가는 자연철학이 ... 된 죽간, 목독과 백서는 고고학이 올린 가장 중요한 수확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치가 얼마나 진귀하며 그 영향이 얼마나 멀리까지, 얼마나 깊이까지 미칠 지는 실로 헤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