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이란 지리적으로 대륙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대만에는 (중화민국), 대륙의 남부에는 홍콩 = (향항) 과 마카오 = (마각오문)이 있고, 중국대륙 중심에도 (만주, 몽고, 티벳)등의 특수 중국이 존재하고있다. 또한 중국은 옛날부터 (普天之下 莫非王土) (率土之賓..
들이 ‘마땅히 따라야 하는 길, 또는 코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가 학교에 도입되어 교수요목을 지칭하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은 뜻으로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일은 흔 ... 살펴볼 필요가 있다.첫째,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정의한 학자들로는 R. Hutchins와 강신웅, 이홍우를 들 수 있다. 교육내용으로 보는 관점은 가장 오래되고 일반 ... 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즉 교육과정을 교과 목록, 교수요목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교과목 종류, 성격, 내용을 나열하여 기술한 것으로 주로 교과과정을 의미하는데 학생에게는 학습해야 할 과정이고
동아시아 고전의 이해2011년 기말 필기본東亞細亞 古典의 理解@古典 - ?(경) 옛것으로써 본보기 참고 할만 한 것當代(당대)나 後世(후세)에도 人間에게 生産的(생산적)이고 發展的(발전적)인 영향을 주는 일체의 기록물인연(人燃) - 인류가 기하급수로 증가되는 욕망의 도..
다. 이 견해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우게 되는 교과나 교재내용의 총체가 교육과정이라는 것이다. 이 입장에 따르면 교수요목의 제정과 그에 따른 교과나 교재의 깊이, 넓이, 지도순서 등 ... 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풀이되고 정의된다. 국내외의 학자들이 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정범모는 교육과정을 내용의 요약을 적어둔 교수요목과 같은 것으로 생각 ... 들 혹은 학과들은 교수의 편의상 조직해 둔 것을 '교수요목'(course of study)이라고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이에 대하여 함종규는 "일정한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모든 과정
하고 있다.이영덕은 교육과정은 "각 교과의 교수 요목과 동일한 뜻으로 정의된 것을 시초로 학교의 지도하에 가지는 학생들의 모든 경험이라는 정의상의 변천을 거쳐 구조화된 일련의 의도 ... 성을 부연해서 강조하고 있다.강신웅은 교육과정이란 교육이 목적으로 하는 인간을 길러내게 하기 위한 학교와 교사들의 총체적 노력인 계획으로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의 계획 ... 는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교수목표·내용·방법을 결정하고,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학습의 방향을 재빨리 파악하여 즉각 학습활동을 전개해 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실력 있고 능숙한 교사라야
는 일반 교육과학과 상호작용을 거쳐 새롭게 탄생되어 발전하는 새로운 분야의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즉 교과교육학은 일반 교육학이나 일반 교수학 또는 교육방법학에 예속되어 단지 응용과학 ... 지 않은 교과교육학은 사변적이고 규범적이며 시행착오적인 것이 될 우려가 있게 된다.강신웅(1998)은 교과교육학이 타학문 영역에 비해 연구 영역이나 연구방법이 구체화되지 못한 까닭
Curriculum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기본적 교과서(the basic textbook), 또는 매일 교수하기 위하여 분과된 일정의 지도요강이나 교수요목 내지는 학습지도요령을 의미했으며, 최근 ... 가 교육과정이라는 것이다. 이 입장에 따르면 교수요목의 제정과 그에 따른 교과나 교재의 깊이, 넓이, 지도순서 등이 연구되고 그 결과에 따라 월별, 주별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다시 ... 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풀이되고 정의된다. 국내외의 학자들이 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정범모는 교육과정을 내용의 요약을 적어둔 교수요목과 같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