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시대節音의 차이에 의해 吳音, 漢音, 唐音 등으로 헤이안시대 당시부터 명칭을 붙여왔고 에소(江戶)시대의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었으나 訓點資料의 본격적인 조사작업에 의해 漢字音의 聲調 ... 에 관한 연구도 진전되었다. 누마모토(沼本克明)에 제시되어 있듯이 헤이안시대의 많은 漢籍訓點資料들의 聲調체계에 관한 연구는 문헌별로 이루어져 廣韻의 聲調체계와 비교되고 있다. 그 ... 이외에도 日本語의 假名에 악센트를 聲点으로 표시한 자료들이 많이 나타났다.가마쿠라(鎌倉)시대의 자료로는 『淨弁本拾遺集』에 붙어 있는 것과 일련의 『古今集』 寫本에 찍힌 聲点을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