草梁客舍 : 조선 임금의 전폐를 모셔놓은 곳)에서 예를 올리고 예물을 증정하였다. 이어서 연향대청으로 자리를 옮겨 동래부사와 일본사신이 공식적인 서계(書契 : 외교문서)를 교환 ... 으로 활용하고 있다.-초량왜관(草梁倭館)용두산 공원 해질녘 사진조선전기에는 제포(현 웅천), 부산포(현 부산), 염포(현 울산) 세 곳에 왜관이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이전의 왜관 ... 하였는데, 그 위치는 초량왜관(草梁倭館 : 1678~1876, 현 용두산 일대) 북쪽 담장 밖 동래부의 남쪽 27리에 있었다. 이곳에 있었던 초량객사는 일본 사신들이 부산에 도착하면 맨
한 창구가 되자, 일본사신들은 부산포에 도착하여 먼저 초량객사(草梁客舍 : 조선 임금의 전폐를 모셔놓은 곳)에서 예를 올리고 예물을 증정하였다. 이어서 연향대청으로 자리를 옮겨 동래부산 ... )을 세워 일본의 교역을 허락하였다. 그후 양국의 선린우호관계가 안정적으로 확대되자, 1678년(숙종 4)에는 그 규모를 확대하여 초량왜관(草梁倭館 : 1678∼1876,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