貞謂咸寧道:“設官與取士, 二者相須而?行。若官制更張, 科目仍舊, 必有?格而不能相通者。”更張:다시 고쳐 확장함?(막을 한; ?-총6획; ha?n,ga?n)格 [hange] ① 서로 ... 사공은 물을 주관한다.土曹, 水曹各曹設正?, 副?, 主事。토조와 수조는 각자 정랑, 부랑을 설치해 일을 주관한다.一、都憲御史, 僉憲御史, 監察御史。各道御史。皆主繩愆糾繆, 察劾官吏 ... (卿大夫)의 자제?학생, 최고의 관직)에 이르기까지의 후계자, 제왕의 맏아들아래에 박사, 훈사를 설치해 경대부의 자제를 가르친다.一、靈臺監正監丞。主觀察星象、推算律曆。아홉째 영대
하는 기관.● 어사대(御史臺)고려 때 관청으로 왕의 잘못을 간(諫)하고 백관의 과오와 비행을 규탄하는 기관.● 어영청(御營廳)조선시대 때 왕실(王室)을 호위하고 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 ... (觀象臺)조선 때 천문(天文), 책력, 기후, 누각(漏刻:시간 측정) 등을 맡아보는 관청 지금의 기상대.● 교서관(校書館)조선 때 경적(經籍) 등을 간행하고 반포 하며 향축(제사 때 ... 는 담당한 관청.● 세자익위사(世自翊衛司)조선시대 때 세자를 호위하는 관청.● 소격서(昭格署)조선시대 때 도교(道敎)의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나타내며 하늘과 땅, 별 등에 제사
해준다.특히 왕권의 전제성(專制性)을 규제하는 대간제도(臺諫制度)가 있었는데,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御史臺)의 관원(官員)을 대간(臺諫)이라고 하였다. 대간제도를 보면 간쟁 ... 상의 격(格)을 낮추어 다음 도표와 같이 개편하여 운영하다가 공민왕 때에 관제가 다시 복귀되기도 하였다.1) 중앙관제13성(三省)중앙관제의 최고 기관으로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 ... 다. 1014년(현종 5)에 김훈(金訓) 등이 무신난을 일으키자 금오대(金吾臺)로 고쳤다가 그 뒤 어사대 ·사헌대로 바꾸었고, 1023년에 다시 어사대로 개칭하였던 기관으로 풍속교정, 백관
, 令은 행정법규, 格은 율령의 변경에 대한 추가법규, 式은 시행세칙 - 637년에 공포된 '貞觀율령격식'은 당의 율령체제의 완비를 의미※御史臺: 반역, 비리 등을 직접 황제에게 보 ... 고하고 황제의 과오도 전혀 부담없이 지적할 수 없음.※ 御史臺: 반역, 비리 등을 직접 황제에게 보고하고 황제의 과오도 전혀 부담없이 지적할 수 없음.※ 지방: 10道(巡察使 ... 의 정치진나라가 세운 황제의 직접통치에 의한 전제적 관료국가의 체제를 계승중앙관제 ------- 황제∥3공(公)= 승상(丞相) 태위(太尉) 어사대부(御史大夫) 또는 부승상(副丞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