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龍) 등의 『황명경세문편(皇明經世文編)』진자룡(1608~1647)은 자가 와자(臥子)로 서부원(徐孚遠), 송징벽(宋徵璧)과 함께 책을 완성하였다. 홍무시대부터 숭정제 때까지 420 ... 와 곡필을 요구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태조실록』은 영락 연간에 두 번씩이나 다시 써야했다.3.『원사(元史)』의 편찬홍무 원년(1368)에 태조는 송염(宋濂), 왕위(王褘)를 총재관
찾아다니는 사람宋襄之仁 송양지인宋 성씨 송 襄 도울 양 之 갈 지 仁 어질 인쓸데없이 베푸는 인정脣亡齒寒 순망치한脣 입술 순 亡 망할 망 齒 이 치 寒 찰 한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 ... 壬辰 임진壬 북방 임 辰 별 진때 신生辰 생신生 날 생 辰 때 신부를 징徵兵 징병徵 부를 징, 음률 이름 치 兵 병사 병음률 치徵音 치음徵 음률 이름 치 音 소리 음/그늘 음참여 ... - 고 知 알 지 新 새 신옛것을 익히고 거기서 새로운 지식이나 도리를 앎完璧 완벽完 완전할 완 璧 구슬 벽모자라거나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함愚公移山 우공이산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
인데, 그 상세선계(上世先系)의 공열은 그만두고서도 5대조 인벽(仁璧)은 처남인 태조가 혁명하고 삼징칠벽(三徵七 )하였건만 끝내 불사이군의 의를 지켜서 나서지 아니하고 양양으로 피신 ... 아니며 송대(宋代)에 시작되었다고 본다.도학이란 이름은 옛날에는 없었다. 삼대가 융성할 때, 천자가 이 도(道)로서 정치하고 교화하였다. 천신백관유사(天臣百官有司)도 이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