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보편성과, 앞서 고대에서의 鼓ㆍ喜ㆍ樂의 성격에 대해 논구했던 논고를 감안하여 자연스럽게 판단하는 것으로 보여진다.또한, 樂舞圖象자료를 대표하는 것은 岩刻畵이라 할 수 있 ... 예술보다 先史人들의 생활면면을 가장 구체적이며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이 뚜렷한 특징으로 볼 수 있겠다.銅鼓에 刻畵된 銅畵는 사회 및 역사,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 ... 보여진다.2. 無文字社會의 傳承과 樂원시사회의 언어발달 과정 측면에서는, 음성언어의 발전 전에 動作언어, 符號언어가 우선하며, 사람의 음성구조의 발달에 의해서 음성과 동작은 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