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목판 인쇄술이 고려로 접어들자 사찰에 의해 계승되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고려 초기의 인쇄술은 해를 거듭할수록 발달하여 왔는데, 때마침 북송에서는 10세기 말기에 동양 최초 ... 어 그 기법이 또한 치졸한 편이다. 한편, 우리 나라의 저술을 개판한 것 중에는고려판각의 독자적 전통성을 보여주는 것도 있음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조선시대의 관판본은 활자인쇄 ... 되었다. 우리 나라의 목판인쇄는 신라 때 개판된 불국사판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고려 초기에 개판된 총지사판 ≪보협인다라니경≫에 의하여 알 수 있듯이, 사찰판에서 싹터 널리 전파
(龍飛御天歌), 구황촬요(救荒撮要)등이 대표적이다. 어록해(語錄解), 첩해신어(捷解新語), 역어유해(譯語類解) 등은 초간본과 개간본이 함께 있어 근대국어 시기 내에서의 언어차이를 보여줄 ... 본), 복각본(번각본), 중간본, 개간본(개각본, 보각본) 등의 구별이 더 의미가 있다.근대국어 시기는 중간본이나 개간본이 많다. 중간본은 초간본 시기 언어의 영향을 벗어날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