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를 건드리지 마세요)無使尨也吠 (무사방야폐) (삽살개가 짖게 하지 마세요.” )-시경(詩經)-정풍(鄭風)將仲子兮 (장중자혜) (도련님, 도련님 둘째 도련님)無踰我里 (무유아리 ... 았는데, 각각 국풍(國風)소남(召南)의 과 정풍(鄭風)에 속하는 라는 작품(作品)이었다. 따라서 이 작품들을 통해 에 나타나있는 사랑(愛)에 대한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물론 ... 님이 두려워요)仲可懷也 (중가회야) (도련님 그립습니다마는)父母之言 (부모지언) (그러나 부모님 말씀도)亦可畏也 (역가외야) (또한 두려워요)將仲子兮 (장중자혜) (도련님, 도련님 둘째
으로 제재의 폭이 아주 넓으며, 특히 정풍, 제풍, 위풍에는 연정시가 많다.① 억압과 착취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생활 속에서 그들의 가슴에 가득한 분노와 한, 아름다운 생활에 대한 동경 ... 의 불행을 노래한 장중자, 맹, 곡풍 등도 있다.2) 아(雅) :옛날에는 "하(夏)"자와 음이 비슷하여 가끔 통용되기도 하였다. 하(夏)는 우(禹)임금이 세웠던 나라로 문화가 가장
장단(調의 변화나 선율도 훨씬 단순)으로 되어 있는 시조창을 즐겼다는 것을,2는 시조 노래 가운데서도 장중하고 雅正한 정격보다는 흥취를 고조시키는 弄 · 樂 · 編의 변격 가곡창 ... 을 모으고 다듬어서 경전으로 삼았다. 주나라가 쇠하자 정풍, 위풍의 노래가 지어져 시의 성률은 예하였다. 한나라가 흥하자 제지만이 오로지 그 갱장한 바를 전하였으나, 원제·성제 때 ... 시키고 차탄하게 하여 그 성정을 기르게 하였다. ……아, 주나라가 쇠퇴하자 정풍·위풍의 음란한 음이 날로 성하고, 雅·頌의 바른 소리가점차 인멸되었다. 진나라, 한나라에 이르자 雅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