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 4가지 의식을, 빈례는 북조의 조사를 맞이하는 의식[迎北朝詔使儀], 명나라의 조사를 맞이하는 의식[迎大明詔使儀] 등 4가지 의식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가례는 태후를 책봉 ... . 고려사 예지(禮志)에 의하면, 예종 때에 처음으로 예를 제정한 바 있다. 그러나 그 전적(典籍)이 전해지지 않고, 의종 때 평장사(平章事)인 최윤의(崔允儀)가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 ... 는 나라의 초상[國恤], 위로의 의식[慰儀], 오복 제도(五服制度) 등 11가지 의식을 규정하고 있다. 군례는 장수를 전장에 보내는 의식[遣將出征儀], 군대가 돌아왔을 때의 의식[歸還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