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상례가 절반이상을 차지하며 그 이유는 사대부들의 관심도 역시 상제례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라 보인다.《삼례의(三禮儀)》 관(冠) ·혼(婚) ·제(祭)의 삼례(三禮)를 고금의 여러 ... 는데 이는 저자 나름대로 세운 기준에 의하여 한 것이다. 이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을 전범(典範)으로 삼아서 만든 가치기준이다.《남계예설(南溪禮說)》=(南溪先生禮說) 남계의 사후 ... ) 이성곤(李成坤)에게 부탁하여 간행한 것이다. 책끝에 개장의(改葬儀)가 붙어 있고, 같은 해에 쓴 김간(金幹)의 발문이 있다.《육례의집(六禮疑輯)》 《家禮》주석서 형태가 아니라, 禮
날 전하는 삼례(三禮)라는 것이다.예는 포괄적인 호칭이어서 이를 세분해 표현할 때 삼례라고 한다. 즉, 주례(周禮)·의례 (儀禮)·예기(禮記)가 그것이다.『주례는 고대에 국가 ... . 고려사 예지(禮志)에 의하면, 예종 때에 처음으로 예를 제정한 바 있다. 그러나 그 전적(典籍)이 전해지지 않고, 의종 때 평장사(平章事)인 최윤의(崔允儀)가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 ... 續五禮儀補)다. 이것이 조선의 국가 의식의 기본 예전이 되었다.조선은 건국과 동시에 유학을 관학으로 삼았는데, 특히 주자학을 숭상해 주자의 이기철학(理氣哲學)을 형이상학적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