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에서 삼재론(三才論)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수용하였다. 천도와 지리를 대전제로 하여 우주만물의 생성법칙을 지기(至氣)의 일원의 발현으로 보았으며 천지인의 삼재지교(三才之敎 ... 성(誠)·경(敬) 즉 종교적 윤리로 발전시켰던 것이다. 이외에도 그는 군자(君子), 소인(小人), 천리(天理), 천명(天命), 성, 경, 태극(太極), 무극(無極) 같은 용어
, 불완전한 상태에서 완전한 상태로 향상시킨다는 의미2) 동양에서의 교육의 정의(1) 맹자의 진심편: 군자의 세가지 즐거움 중의 하나로서 교육.(2) 교육: 敎 = 모방, 育 = 양육 ... 게 기대하며 환경의 작용이 인간의 능력을 결정한다고 보았고, 소질까지 환경의 힘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3) 대표적 사례 및 연구: 아베롱의 야생아 연구, 맹모삼천지교 등(4
시하는 『중용』(中庸)의 용어가 특별히 이용되고 있으며 고려 예종때 왕의 임석하에 행해지던 대신들의 경전 강론의 분위기를 가리켜 '삼강오상지교'(三綱五常之敎)와 '성명도덕지리'(性命 ... 다. 주자는 명분론으로 쉽게 이어지는 군신(君臣), 부자(父子),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등의 상하 관계와 수평적 질서론을 전개하면서, 이보다 앞서 군군(君君), 신신(臣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