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의를 갖추기 못한 사람이라고 보는 경향이 없지 않다.옛 부터 한국을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智國) 즉 동쪽에 있는 예절의 나라라고 불려왔다. 이 말은 한국의 서쪽에 있는 중국사람 ... 테이블 매너◎ 동양 에티켓동양 예절은 일직이 유교에 그 근본을 두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예절도 유교의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에 근본을 두고 예의를 가르치고 중요시 해왔다.일직 ... 고 있다.또한 동양에서는 예의를 갖추기 위해서는 자신을 상대방보다 낮추고 상대방을 높이는 데에 그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상대를 우습게 본다거나 자신을 내세우는 것에 대해서는 조금
민 어지다大夫受田者有罪則收之人人自重不敢犯法禮義興而風俗美府衛之兵州郡津대 부 수 전 자 유 죄 즉 수 지 인 인 자 중 불 감 범 법 예 의 흥 이 풍 속 미 부 위 지 병 주 군 진받 ... 을 죄 곧 거둘 무거울 감히 범할 예의 일어날 풍속 곳집 지킬 고을 고을 나루터驛之吏各食其田土着安業國以富强. 雖以遼金虎視天下而與我接壤不敢呑역 지 리 각 식 기 전 토 착 안 업 국
다스려지게 될 것이다.且我東禮義, 雖因箕聖之敎, 三韓以後, 幾乎泯焉. 入于我朝) .入于我朝 : 우리 조선에 미쳐서, 禮義畢擧, 文物咸備, 惜乎! 述者之猶遺乎此哉. 嗟爾小子, 益加勉 ... .☞ 또 우리 나라의 예의는 비록 기자(箕子)의 교화에 힘입었지만, 삼한(三韓) 이후에는 거의 인멸되었다가, 우리 조선조에 들어와 예악이 다 거행되고 문물이 다 구비되었는데,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