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 금석학(金石學), 문자학, 문헌학으로 발전되었다.6춘추공양학파와 중화사상춘추공양학파는 청나라 말에 성행한 학문적 경향으로서 춘추(春秋)의 공양전(公羊傳)을 근거로 이념적인 ... 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은 불교와 도교의 철학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유학을 철학적이며 형이상학적으로 체계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학자들로는 호원(胡援), 손복
) 공양전(公羊傳)에서 자신의 개혁의 근거를 마련한 강유위는 고문(古文) 경전이 모두 위조된 경전이라는 주장을 하여 이미 수구파의 비난의 표적이 되었다. 그런데 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약이다. ... 으로 봉금 당했다. 청류파 고관들의 요청으로 '강학서국(强學書局)'만은 재개되었으나 일종의 관서국(官書局)으로 바뀌어 이전의 학회기능은 소멸되고 말았다. 상해는 장지동이 강유위의 공자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