好奇(구신호기) - 새롭고 기이한 것을 좋아할 것.4. 不失基時(불실기시) - 때를 잃지 말 것.5. 書牘(서독)질의 - 글로 써서 질문 할 것.6. 敬玩(경완)서적 - 서적을 사랑 ... 을 만들었고, 1885년 8월 3일에 이겸라(李謙羅), 고영필(高英弼)이라는 두 학생을 얻어 벌 써 수업을 시작하였다. 1886년 6월 8일에 고종은 배재학당이라는 교명과 액(額
에 대한 검토」,『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pp.853~877, 一潮閣, 1994.必?赤(必者赤, ?者赤, ??赤, 秘?赤, 筆且齊)의 어원은 위구르어이며 文士?書記?寫字 ... , 春谷 鄭擢 형제는 조선개국공신으로서 家格을 높였다. 한편 청주 정씨 가문은 退溪 李滉의 眞寶 李氏 가문과 중첩된 혼인 관계를 맺었으며 정해의 10대손 藥圃 鄭琢, 寒岡 鄭逑는 이러 ... 한 혈통을 매개로 하여 이황의 門人으로서 학통을 이어갔다.주제어淸州 鄭氏, 鄭?, 鄭琢, 鄭逑, 李滉1. 머리말2. 청주 정씨 가문의 起家3. 정오~정탁의 가계4. 정포~정구의 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