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인 평시조를 여러 수 이어 지은 연시조가 있다. 맹사성의《강호사시가》, 이이의《고산구곡가》, 권문호의《한거십팔곡》등은 연시조로2수 이상이다.3. 여말의 구전 시조여말의 시조는 거의 ... 지켜져야 한다. 종장 첫 구를 제외하고는 경우에 따라서 어느 정도 자수의 융통성을 가지는 것이 그 특징이다.이런 정형에 의해 이루어진 작품을 평시조 또는 단형시조라고 한다.2) 변형
에 대한 미련과 강촌에서의 삶에 대한 동경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3.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는 자연과 일체된 호흡을 하면서 하루를 보내고 사시 ... 까운 일이 어디 있는가?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는 구체적인 풍광을 작품 속에 구축하고 있으면서도 경물을 묘사함에 있어서 혹은 정감을 서술함에 있어서 작가만의 독자적 감각으로 포착 ... 된 수사에 의거하지 않고 오히려 보편적 공감각 혹은 관용적 표현에 뿌리를 둔 언어를 선택하고 있음으로써 상상력을 개방하고 있다.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는 서시인 제 1수를 제외한 나머지
을 양성하며 자신의 심경을 읊은 12수의 연시조로 전 6곡은 언지(言志) 후 6곡은 언학(言學) 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이 작품은 이이의 고산구곡가 와 짝을 이루는데, 이이 역시 ... 「한거십팔곡」은 이황의 제자인 송암 권호문이 지은 것이다. 스승과 제자 사이니만큼 이 두 시조에서는 우리나라 고전문학의 특징을 대변한다고 보여진다. 이 두 시조에 나타나 있는 시대 ... 여 그리워하다가 제자가 매화분을 보내주자 그 회상을 시로 읊기도 하였다. 그의 매화시는 서호 고산에 은거하였던 송대의 은사 임포가 보여주는 매화와 일체화된 삶을 본받고자 하
)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이이(李珥)의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가 있으며, 정철(鄭澈)의 여러 시조에 이르러 조선 전기의 시조문학은 절정에 다다랐다. 조선 전기의 가사 ... 나 가사가 이처럼 확고한 자리를 굳히게 된 것은 수사(修辭)에 있어 이 두 가지 형식이 한국말을 자유로이 구사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을 갖추었기 때문이다.시조는 간결한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