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707)
  • 리포트(585)
  • 방송통신대(46)
  • 논문(38)
  • 시험자료(34)
  • 자기소개서(3)
  • ppt테마(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훈민정음해례본" 검색결과 41-60 / 707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국문]훈민정음 해례본 번역본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본(풀이) 1. 훈민정음 예의본2. 훈민정음 해례본1) 제자해2) 초성해3) 중성해4) 종성해5) 합자해6) 용자례3. 정인지 서문*별첨(훈민정음 예의본 ... , 해례본 한글 해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만든 28자의 이름이자, 책이름입니다. 책 ‘훈민정음’은 세종 28년(1446년) 9월 반포한 것으로, 글자를 만들고 난 뒤 이 글자 ... 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 밖에 정인지 근서가 붙어 있습니다.1. 훈민정음 해례본 ; 예의편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
    리포트 | 4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12
  • 훈민정음 해제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본, 언해본)
    과 역사의 강론과 임금의 자문을 담당하게 됨.2. 종류? 훈민정음의 판본에는 크게 해례본(한문본), 언해본이 있고, 그밖에 예의본이 있다. 실록본이 있는데, 이는 예의본에 속함. 이 ... 가운데 완전한 책의 형태를 지닌 것은 해례본임.1) 훈민정음 해례본- 해례본은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것과 2008년 상주에서 발견된 것 두 부가 존재.? 안동본 : 표지 2 ... 장이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부르며,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다.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7.11 | 수정일 2020.02.03
  • 한국어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어진 훈민정음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그 모습도 변화하여 현재 우리가 쓰는 한글이 되었다.이 보고서에서는 훈민정음 혜례본의 창제 28자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24자의 자모 ... 로 이루어진 자모체계를 알아보고, 그를 비교하여 사라지거나 변형된 자모체계를 알아보고자 한다.본론1. 훈민정음 혜례본의 자모체계훈민정음은 자음 17자와 모음 11자로 이루어져있어 총 ... A++한국어음운론주제A++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목차서론본론결론참고문헌서론한국의 고유 문자인
    리포트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7.08.04 | 수정일 2019.05.16
  • 훈민정음 해례본 중 결왈 풀이 모음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와 있는 결(要訣)만 해석하여4?3운율의 한문을 우리말 2?3?2?3?2운율로 바꾸어 보았습니다.1. 제자해 결 (결왈訣曰) 12. 초성해 결왈36p53 ... ㆍ 별도로 있어취상 방식은 같고 체계는 달라ㄴㆍㅁㆍ ㅅㆍㅇㆍ는 느린 소리가 되니차례 뒤지만 상형 처음이 되네.훈민정음 해례본 24p(영인본)配諸四時與沖氣五行五音無不協維喉爲水冬與羽牙 ... 나란히 쓰면 전탁음 되나ㅎㆍ가 겹쳐진 ㆅㆍ는 전탁이 안돼ㅇㆍ와 ㄴㆍㅇㆍㅁㆍ ㄹㆍㅿㆍ 여섯자 특징모두 불청에 불탁 음이라 하네해례본 27~28쪽欲之連書爲脣輕喉聲多而脣乍合中聲十一亦取象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4.13
  • 4. 훈민정음 해례본(정인지 서문)
    훈민정음 해례본 ; 정인지 서문(1446.9.상한) 鄭麟趾 序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유천지자연지성 칙필유천지자연지문. 소이고인인성제자 이통 ... 치 못하는 것이다.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略揭例義以示之 名曰訓民正音.계해동. 아전하창제정음이십팔자 약게예의이시지 명왈훈민정음.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犀七調. 三極之義 二氣之妙 ... 우자가협순이학계해년 겨울. 우리 전하께서 비로소 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간략하게 예의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이 글자는 상형해서 만들되 글자 모양은 중국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6.20
  • 훈민정음 해례본(예의서/결구 포함) 한자음+해석
    에 두루 따르네.훈민정음 해례본終聲解(종성해) (1446.9.상한)終聲者(종성자) 承初中而成字韻(승초중이성자운)/종성이란 것은 초성과 종성으로 이어받아서 자운을 이루는 것이다.如卽 ... 訓民正音 훈민정음 예의國之語音(국지어음)/異乎中國(이호중국)/與文字不相流通(여문자불상유통)/故愚民(고우민)/有所欲言(유소욕언)/而終不得伸其情者(이종불득신기정자)/多矣(다의)/予
    리포트 | 17페이지 | 9,900원 | 등록일 2013.06.25 | 수정일 2019.05.22
  • 한글의 우수성과 훈민정음 해례
    뛰어난 문자인가/ 백두현(경북대학교 인문대학)Ⅱ. 훈민정음 해례본① 예의본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흘러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을 하고자 하는 바가 있 ... 되어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문자입니다. 유네스코가 그 가치를 인정하는 데에는 우리의 국력 신장이 바탕이 되었지만 무엇보다 훈민정음 자체가 우수한 문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 ... 은 “이 달에 세종대왕이 손수 언문 28자를 만들었으며, 그 문자의 이름이 ‘훈민정음’이다”라는 기록이 ‘세종실록’에 드러나 있다.③ 한글은 음성 과학적 기반을 가진 문자이다.한글
    리포트 | 1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9.15
  • 훈민정음해례본 - 한글 번역
    훈민정음 해례본」世宗御製序文(세종어제서문)國之語音異乎中國與文字不相流通(국지어음이호중국여문자불상류통)우리나라 말은 중국 말과 달라,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한다.故愚民有所欲言 ... .)초성이 다시 종성이 되고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역시 이러한 이치니라.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우. 정음작이천지만물지리함비 기신의재.)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 ... 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정음초성 즉운서지자모야. 성음유차이생 고왈모.)正音의 초성은 즉 韻書의 글자의 어미라. 말소리가 이로부터 생겨나니 고로 어미라 한다.如牙音
    리포트 | 2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8.01.18 | 수정일 2015.10.01
  • 훈민정음 해례본 5해 1례
    훈민정음 해례본5해 1례학과:학번:이름:차 례Ⅰ. 훈민정음 해례본: 5해31. 제자해 32. 초성해 113. 중성해 124. 종성해 135. 합자해 15Ⅱ. 훈민정음 해례본: 1 ... 례1. 용자례 17Ⅲ. 한글의 우수성19Ⅳ. 참고문헌 24Ⅰ. 훈민정음 해례본: 5해1. 제자해(制字解) (1446.9.상한)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 천지 자연(우주만물 ... .그러므로, 사람의 소리는 모두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사람들이 살펴서 깨닫지 못한 것일 뿐이다.今正音之作 -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初非智營而力索 -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
    리포트 | 2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2.06
  •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정리
    훈민정음해례1)제자해(1) 원리천지의 도는 음양오행이고 사람의 소리도 음양의 이치가 있으니 그 소리에 따라 이치를 밝혀냈다.(2) 초성①정음 28자는 각각 그 꼴을 본떠 만들 ... 으니근본은 둘이 아니고 이치와 성수가 통하네.훈민정음을 지음에 있어 모양을 본떴으며소리의 세기에 인해서 글자의 획을 가했다.牙 舌 脣 齒 喉에서 소리가 나타나며이것이 초성의 17자가 되 ... 종성이 되고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역시 이러한 이치니라.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니, 그 신이로움이여. 이는 아마도 하늘이 성군의 마음을 여시고 그 손
    리포트 | 1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4.11.20
  • [중세국어]훈민정음 해례
    훈민정음 해례본 ; 예의편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予. 一爲此憫然.하야 新制二十八字. 하오니 欲使人 ... 신 것이 아니겠는가??훈민정음 해례본 ; 初聲解 (1446.9.상한)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正音의 초성은 즉 韻書의 자모이니, 말소리가 이로부터 생겨나므로 '모 ... 斗,呑,覃,那, 입술소리 별,漂,步,彌, 잇소리 卽,侵,慈,戌,邪, 목소리 읍,虛,洪,欲,반혀.반잇소리 閭,穰, 모두 이를 따른다.(마찬가지 원리이다)훈민정음 해례본 ; 中聲解
    리포트 | 1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훈민정음해례본정리와 한글의 우수성
    다. 엄밀하게 따진다면 훈민정음은 동시에 두 가지 것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하나는 ‘문화재’로서의 훈민정음. 전 세계에 아직까지 단 한 권 밖에 없는 이른바 ≪훈민정음 해례본 ... 한 ≪훈민정음해례본≫이 있다. ≪훈민정음예의본≫에 관해서는 ≪세종실록≫과 ≪월인석보(月印釋譜)≫ 첫 권에 같은 내용이 실려 있어 이미 널리 알려졌으나, ≪훈민정음해례본≫에 대하 ... 의 기원설까지 나올 정도로 구구한 억설이 있었으나, 이 책의 출현으로 모두 일소되고 발음기관 상형설(象形說)이 제자원리였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 ≪훈민정음해례본≫에, 이전에 발견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1.02
  • 훈민정음 해례본 전문
    훈민정음 해례본》(1446.9.상한)예의편제자해초성해중성해종성해합자해용자례정인지서문※본 자료는 학술적 검증을 거친 자료가 아님을 밝혀둡니다.내용 중 오자 및 탈자가 있을 수 있 ... 습니다.개인적인 학습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터지기 올림훈민정음 해례본 ; 예의편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 ... 시고, 그 솜씨를 빌려주신 것이 아니겠는가?훈민정음 해례본 ; 初聲解 (1446.9.상한)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正音의 초성은 즉 韻書의 자모이니, 말소리가 이로
    리포트 | 2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6.20
  • 훈민정음 해례본에 수록된 순 우리말 단어조사
    훈민정음 해례본에 수록된 단어조사」국어교육과 200333110 남태식- ?곶 : 베꽃(梨花)- ?의 갗 : 여우의 가죽(狐皮)- ·? : 땅- ? : 외짝 척 (배를 세는 단위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11.20
  • [한글] 훈민정음 해례
    이 다시 종성이 되고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역시 이러한 이치니라.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니, 그 신이로움이여.是殆
    리포트 | 1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7.13
  • [국어학강독] 훈민정음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例義編(예의편)」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勞 不相流通 故 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予 一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耳국지어음 이호중국 ... 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 우. 정음작이천지만물지리함비 기신의재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니, 그 신이로움이여.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 시태천계성심 ... 이가수언자호.이는 아마도 하늘이 성군(세종대왕)의 마음을 여시고, 그 솜씨를 빌려주신 것이 아니겠는가?「初聲解(초성해)」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정음초성 즉운서지
    리포트 | 2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8.14 | 수정일 2021.10.26
  • 훈민정음 해례본 (어지, 결, 정인지서문 포함)
    도 역시 이러한 뜻이다.旴. 正音作而天地萬物地理咸備, 其神矣哉. 是殆天啓聖心而假手焉者乎.우. 정음작이천지만물지이함비, 기신의재. 시태천계성심이가수언자호.아! 정음이 만들어짐에는 천지만물
    리포트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04.16
  • [한문과교재연구] 훈민정음해례본
    * 훈민정음 해례본 ; 制字解 (1446.9.상한)訓民正音解例. 解例 : 훈민정음 해레편은 훈민정음 의예편에서 간단하게 언급되어 있는 내용을다시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 ... 라고 하였는데,훈민정음 해례 편찬자들도 이 설을 쫓아 해례의 첫머리에 이런 말을 한 것이다..一陰陽五行而已. 坤復之間 : 坤復之間 - 곤이나 복이나 易의 괘명인데, 곤복지간이란 역 ... 해, 합자해, 용자례등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한 부분이다.制字解 :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음가 등을 송학이론과 중국음운학적 견지에서 설명한 부분이다.------------
    리포트 | 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7.14
  • 훈민정음 해례본의 의의와 세종대왕
    정음 해례본'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유산'으로서의 훈민정음 - 우리 모두가 익혀 나날이 쓰고 있는 이른바 '한글'이다.문화재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새 글자를 1446년 ... '예의편'만을 국역한, 흔히 '언해본'이라고 일컫고 있는 책은 몇 부가 남아있으나 '해례편'이 붙어있는 '훈민정음 원본' 은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의 어느 고가에서 전형필 선생 ... 이 찾아낸 간송 미술관 소장본이 유일본이다.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최항 박팽년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집현전의 여덟 학자들이 집필한 이 '해례편'이 발견됨으로써 종래 구구했던 훈민정음
    리포트 | 2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0.29
  • 훈민정음의 철학적 사상에 관한 논의 - 훈민정음의 역학사상과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
    훈민정음의 철학적 사상에 관한 논의- 훈민정음의 역학사상과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목 차Ⅰ. 서 론Ⅱ. 훈민정음 창제의 논의1. 훈민정음 창제 배경2. 훈민정음 해례본Ⅲ. 훈민정음 ... , 드러난다.2. 훈민정음 해례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용례 및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은 『훈민정음 해례본』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의 첫머리 ... 하게 작용하는데, 『훈민정음 해례본』을 면밀히 분석해 보면 정음의 자음과 모음의 구조 원리에 나타난 철학사상을 찾아낼 수 있다.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작용하고 있는 원리를 역학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10.30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