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 그린 회전(悔前)이나 를 그린 혜허(慧虛), 그리고 를 그린 각선(覺先) 등은 그 이름으로 보아 승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제작의 주체인 승려들의 화파(畵派)라든가 활동 무대 ... 들이 나타나지만 전체적으로 단정하고 근엄하거나 단정, 근엄하면서도 풍만하고 우아한 형태를 보여준다.한편 일본 젠도지 소장 지장보살도, 혜허 필 관음보살도 등의 인물표현은 우아하면서도 유연 ... 다.그림의 형식은 독존, 아미타삼존, 아미타팔대보살도 등이 있으며 설법도와는 달리 각존상이 오른쪽으로 약간 몸을 돌린, 즉 측면의 입상이며 방향은 모두 화면을 향하여 오른쪽에서 왼쪽
에서는 제석천(帝釋天)이나 천수관음보살상(千手觀音菩薩像)의 지물의 하나로 나타난다.③ 금강저(金剛杵)불교의식에 사용하는 불구의 하나로 금강지저(金剛智杵), 견혜저(堅慧杵)라고도 한다 ... 고 다시 도금한 불상. 조선시대 기림사 건칠보살좌상과 불회사 건칠삼존불좌상이 있다.보살원어는 보리살타(Bodhisattva). 보살은 보리살타(菩利薩陀)의 준말로서 각유정(覺有情 ... 에서만 나타난다.③ 상현좌(裳懸座)결가부좌한 불상이 입은 옷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는 형식을 말한다. 인도 간다라 불상 조 각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특히 불상 표현이 중국화되어 가
) 무치(無痴) 무란(無亂)이라, 그릇됨이 없고 어리석음이 없고 어지러움이 없다는 것은 내나 계(戒), 정(定), 혜(慧) 삼학(三學)을 말한 것으로, 그릇됨이 없는 것은 바로 ... 성자입니다. 그러나 불지(佛地)를 성취한 성자는 아니라는 말입니다.습기 때문에 두고두고 일구월심으로 닦아야 참다운 구경각(究竟覺)을 성취하기 때문에 고운점수(故云漸修)라, 고로 ... 북점장(南頓北漸章)에 나와 있습니다.단경(壇經) 자체도 문제는 분명히 있습니다. 돈황본(敦煌本)이라든가 혜흔본(惠昕本)이나 종보본(宗寶本)이나 덕이본(德異本)이 다 각기 차이가 있
(定)·혜(慧)를 닦을 것을 勤하며 結社하는 글 《근수정혜결사문(勤修定慧結社文)》을 발표했다.지눌은 정혜결사문《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을 발표한 이후에도 더욱 수행에 정진하였 ... ){) 정혜쌍수(定慧雙修)는 불교수행의 핵심을 이루는 두 요소 정(定 : 禪定)과 혜(慧 : 智慧) 를 함께 닦자는 실천운동이며, 이 정혜쌍수의 바탕이 되는 이론이 돈오점수설이다.를 불교 ... 의 이념으로 채택됨으로써 불교가 가졌던 체제이념으로서의 기능은 축소되었으며 그 결과 각 종파별, 신앙별로 특정집단만을 대변하는 위치로 전락하였다. 문벌귀족들은 화엄·법상종은 개경
에게는 인식과 실천이 둘이 아니라 하나일 수밖에 없었으며 《전습록(傳習錄)》 권2에 의하면 “앎의 진정한 독실처(篤實處)가 곧 행(行)이요, 행함의 명각정찰처(明覺精察處)가 곧 앎이 ... 었다. 이충익은 {답한생서(答韓生書)}에서 성령문학에 관해 말하고 있다. 그는 또 글은 반드시 혜식(慧識)을 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혜식은 양지의 다른 표현이라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