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같은 분쟁을 행정소송법상의 기관소송으로 해결할 수 없고 권한쟁의심판이외에 달리 해결할 적당한 기관이나 방법이 없으므로(행정소송법 제3조 제4호 단서는 헌법재판소의 관장사항 ... 제1항 제4호 소정의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의 의미(2) 국회의원이나 교섭단체가 국회의장을 상대로 권한쟁의심판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 참고문헌 ※♧ 국회의원과 국회의장간 ... 한 것이다.(나) 청구인들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2. 판시사항과 결정요지가. 다수의견(1) 국회의원과 국회의장이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가 될 수 있는지 여부(적극)(가) 헌법
또는 심판사건·행정심판 또는 심사의 청구나 이의신청 기타 행정기관에 대한 불복신청사건, 수사기관에서 취급 중인 수사사건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설치된 조사기관에서 취급 중인 조사사건 ... 사건들이 바로 앞에서 예시되고 있는 소송사건 등이라고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법자는 비변호사의 금지대상행위를 '감정·대리·중재·화해·청탁·법률상담 또는 법률관계문서작성'(이하 ... 법 제90조 제2호에 대하여 위헌여부심판제청신청(99초471)을 하였으나 기각되자, 2000. 1. 13. 이 사건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나. 심판의 대상이 사건의 심판의 대상
의 목적, 헌법 제27조 제1항의 재판청구권 등에 의하여 열거규정으로 볼 것이 아니라 예시규정으로 봄이 타당하다.3의무이행소송은 행정처분과 관련하여 행정소송의 종류로써 일반이행 ... 한다.4.피고적격; 처분을 행한 행정청으로 본 사안에서는 경기도 지사가 된다.5.소장; 당사자, 청구취지 등을 민사소송의 예에 따라 작성한다.6.위법한 처분의 존재; 본 사안은 살펴본 ... 있는 권리가 있는가? (행정개입청구권 여부)【해결】Ⅰ.행정소송의 가능성본 사안에서 A와 인근주민은 어떤 소송을 할 수 있는가?1.단체소송 (Verbandsklage)다수자의 의한
별개의 헌법상의 국가기관으로서의 권한을 둘러싼 분쟁 인데, 이를 행정소송법상의 기관소송으로 해결할 수 없고 권한쟁의심판 이외에 달리 해결할 적당한 기관이나 방법이 없으므로 국회 ... 하고 있더라도 이는 한정적·열 거적인 조항이 아니라 예시적인 조항으로 해석해야 하며 우리 재판소가 종전에 이와 견해를 달리하여 국회의원은 권한쟁의심판의 청구인이 될 수 없다고 한 ... 사건에서 헌재는 자신의 결정을 변경하여 권한쟁의심판청구인적격에 관한 규정을 예시적인 규정으로 파악하고, 해석을 통하여 청구인적격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가능성을 열어 놓
권의 통제 : 조직 및 인사권, 재정 및 재무권, 사무권의 통제. 자치단체의 대응 : 대법원의 소 제기, 헌법재판소 심판청구, 행정소송 의뢰※ 중앙과 지방정부의 관계{) www ... . 주민의 권리 : 행정서비스 수혜자, 선거권자, 공직 담당자, 청구권자. 주민의 의무 : 비용 부담, 공공복리에 적합한 행동, 법규 준수4. 주민 참여의 유형. 제도적 참여와 비제도 ... . 지방자치단체간 갈등의 조정.당사자간 합의 : 상호주의 원칙.행정협의회를 통한 조정.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헌법재판소의 분쟁 심판에 의한 조정『참 고』[지방 자치법]제9조 【지방
에 정한 교섭금지대상에 해당함4. X는 이사건 시정명령에 대하여 2009. 10. 16.에 단체협약시정명령취소소송을 제기하였으며, 2010. 4. 16. 1심은 X의 청구를 전부 기각 ... 단한과 책임에 대해 노조와 나누는 것이 되어 행정책임주의 및 법치주의원칙에 반하게 되기 때문”이다.(3) 평가 : 원심 판단과의 비교1) 심급별 판단 요지1심판결에서는 단체협약 ... 하였으며, 2010. 5. 10. X의 항소에 대하여 2011. 5. 19. 2심은 X의 청구를 일부 인용하는 판결을 선고하였다.인사협의조항에 대한 X의 주장 : 이 부분 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