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변증법의 논의에 앞서 플라톤은 6권에서 선분의비유를 통해 가지계의 우월성을 설명하며 7권에서는 동굴의 우화를 통해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실감나는 입체적 설명을 하게 된다 ... 한 지혜에 이른 자가 변증가 및 철학자임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2.1.2. 비유와 우화를 통한 좋음의 이데아이제 ?국가? 7권에서는 본격적으로 변증법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 ... 지만 태양으로 믿는 것은 옳지 않듯,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도 이들 둘을 ‘좋음’을 닮은 것으 로 간주하는 것은 옳으나, 어느 쪽 것도 바로 ‘좋음’이라 믿는 것은 옳지 않다네.)분리
에는 위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선분의비유에서 보면 가장 낮은 단계의 인식수준을 상상 (eikasia)라고 명명했다.이는 그림자와 반사물들을 일컫는다. 이 단계에 있는 사람은 환상 ... . 지식의 단계는 가설이나 감각의 혼합이 없는 순수한 존재의 이데아들이 대상을 이루고 있다.이와같이 선분의비유와 관련하여 플라톤의 생각하는 교육의 본질인 영혼의 전환술의 의미는 인간 ... 의 도덕적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아카데미아(Academia)라는 학교를 세우고 인재양성에 힘을 쏟았다.2)피타고라스 학파의 영향피타고라스학파의 사상적 특징은 정신과 육체를 분리해서
을 서만 이에 입각하여 존재하고, 두 세계 사이에는 실물과 그림자, 실물과 모상(模像)의 비례가 있다(《국가론》의 선분(線分)·동굴·태양의 비유, 《티마이오스》의 우주창성론(宇宙創成 ... ·정팔면체·정십이면체·정이십면체를 알고 있었다고 한다. 정십이면체는 정오각형의 작도를 필요로 하지만 한 선분을 중외비(中外比)로 끊는 문제로 환원시켜 이 작도에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 )인가, 아닌가’를 질문하나, 그것은 그 무엇인가(A)를 그것과 다른 것(A가 아닌 것)으로부터 분리하게 됨으로써 가능하며, 이 질문에 대답함으로써 인간은 이 양자(A와 A가 아닌
)의 비례가 있다(《국가론》의 선분(線分)·동굴·태양의 비유, 《티마이오스》의 우주창성론(宇宙創成論) 등). 인간이 탄생과 죽음에 의해서 한계지어진 ‘이 세상(여기)’과 ‘저 세상 ... 것)으로부터 분리하게 됨으로써 가능하며, 이 질문에 대답함으로써 인간은 이 양자(A와 A가 아닌 것)를 포괄하는 전체와의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전체와 부분과의 뒤얽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