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베끼는 경우와 세책방에서 영업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유통 과정인 동시에 개작 과정이 되었다.② 방각본 필사본에 한계를 느낀 업자들이 인기 있는 작품들을 골라 주로 ... [원생몽유록, 수성궁몽유록, 대관재몽유록 등]⑧ 전기(傳奇)소설 : 초현실적, 비과학적, 비인간적인 세계 등을 표현[금오신화, 홍길동전, 전우치전 등)]⑷ 소설의 유통 과정① 필사본 ... 활약을 전개하는 소설-몽자류(夢字類) 소설 귀족적 영웅 계열의 소설. [구운몽], [옥루몽] 등② 가정 소설 : 가정 내의 문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소설. [장화홍련전
소설본 계열로는 송동본을 제외한 京板本 3종이 여기에 속한다.지금까지 밝혀진 의 유포본은 방각본 10종, 활자본 11종, 필사본 60여종이다. 이 가운데 방각본은 京板 4종, 안성판 ... 』 충실하게 정착시킨 창본으로는 이선유본, 김연수본, 한애순본, 성창순본, 정권진본 등이 있으며, 판소리사설 계열의 異本으로는 신재효본 및 完板 72장본을 들 수 있다. 그리고 ... 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보인다. 完板 71장본은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 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생성된 異本으로서 가운데 가장 널리 읽혀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필사본은 異本이 60여종
과 전기의 발달을 바탕으로 출현된 것이다. 금오신화는 김시습이 지어서는 세상에 공표하지 않고 비밀히 간직해 두었는데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가지고 가서 거기서 두 번이나 방각본 ... 으로 출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최남선이 계명 19호에 옮겨 실음으로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물론 국내에서도 필사본으로 유포되어 퇴계 이황도 읽었다고 한다. 김시습이 경주 금오산에서 7년 ... 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조선후기 소설사에서 신성소설의 계열은 바로 위와 같은 축에 의거하여 검토될 수 있는 것인데, 이것은 문화사적으로는 고대의 신화체계를 계승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 옥중화 계열로 크게 나누어진다.제 1기 계통본인 별춘향전 계열은 필사본과 완판 목판으로 출판되었다. 제2기 계통본인 남원고사 계열은 필사본과 경판 목판으로, 이중 필사본은 세책 ... 용 필사본으로 많이 유포되었다. 20세기에 나타난 제 3기의 옥중화 계열은 활자 출판 시대에 시작했기 때문에 다양한 서두 변형, 경쟁 출판 시대, 판소리극 중심권의 서울이동 시대 ... 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 이때에는 별춘향전 계열의 최선 텍스트인 완판 84장본과, 남원고사계의 최후 방각본으로 최대 축약판인 경판 16장본, 복고조 전통본인 활자본 고본춘향전이 개화
을 심봉사가 말한 것을 보면, 반드시 정조시대, 또는 그 이후에 지어진 것이라고 짐작된다.현재 공개된 이본은 경판 4종, 안성판 1종, 완판 7종, 필사본 62종이나 된다. 그밖 ... 에 이해조가 1912년 光東書國에서 이란 제목으로 개작·간행한 것을 비롯해 4종의 구활자본이 전한다. 방각본은 판소리의 기반 아래 새롭게 謫降의 구조를 토대로 해 적극적으로 개발 ... 한 경판본 계열 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다. 경판 26장본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대명 성화연간 남군 땅에 사는 심현과 정씨부인이 뒤늦게 딸 심청을 낳았다. 심청이 세 살 되던 해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