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기사는 韓 혹은 百濟가 246년에 대방군을 공격한 사건을 기록한 것으로 이 사건의 주체를 1의 사료에 의거해 백제의 古爾王으로 보는 설과 2와 3의 사료에 의거해 마한의 辰王 ... 爾王 13年條).2 2월에 幽州刺史 母丘儉이 고구려를 쳤다. 5월에 濊貊을 쳐서 깨뜨리니 韓那濊 등 수십 國이 각각 種落을 거느리고 투항하였다( 卷4 齊王芳紀 正始 7年條)3 部 ... 으로 보는 설이 있고, 그밖에 마한의 臣 沽國으로 보는 설이 있다.우선 마한의 辰王설이다. 이것은 중국의 기록을 신뢰하여 마한의 진왕이 중심이 되어 대방군을 공격하였다는 것이다. 이러
는 만주로 출병하여 부여를 보존하고 부여를 구태백제의 분국으로 만들었다.“고이왕(古爾王) 5년(A. D 238년) 봄 2월 부산(釜山)으로 사냥 가서 50일 만에 돌아왔다. 여름 ... (辰)을 은유법으로 적은 것이며, 황(黃)은 역(易)에서 중앙 또는 수도를 뜻하고, 용(龍)은 임금을 뜻한다.위 문구는 A. D 238년에 위나라의 사마의(司馬懿:사마중달 ... )을 함락시켰으나 동천왕이 남쪽으로 달아나 항복을 받지는 못하였다.그는 이듬해에도 현도태수(玄娠太守) 왕기(王슛)를 시켜 침공하게 하여 동천왕은 남옥저(南沃沮)까지 쫓기며 위기
전체를 다스리던 진왕(辰王)의 자손인데, 4세기 초 백제와 신라의 압박이 심해지자 일본 북규수로 건너와서 원주민을 정복하고 새로운 건설했다고 했다. 그는 북규슈에 정권의 중심을 두 ... 를 그대로 『일본서기』이후의 정사에 반영하여 통일신라와 발해도 일본에 조공해야 하는 나라로 서술하고 있다.25년에 百濟의 直支王이 죽었다. 즉시, 아들 久爾辛이 王位에 올랐다. 王은 幼少 ... 하였으므로 木滿致가 國政을 잡았다. 王이 어머니와 밀통하여 무례한 행동이 많았다. 天皇은 이 말을 듣고 召하였다.{) 성은구 역주, 『일본서기』, 고려원, 1993.응신 25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