綠)≫, 장군방(張君房)의 ≪승이기(乘異記)≫, 진팽년(陣彭年)의 ≪지이(志異)≫, 곽상(郭象)의 ≪규차지( 車志)≫, 장사정(張師正)의 ≪괄이지(括異志)≫, 섭전( 田)의 ≪조이지(祖異志 ... 는 투신氏三兄弟)≫,염포(廉布)의 ≪대통장씨(大桶張氏)≫, 홍매(洪邁)의 ≪이견지(夷堅志)≫ 등을 비롯 서현(徐鉉)의 ≪계신록(稽神綠)≫, 오숙(吳淑)의 ≪강회이인록(江淮異人 ... 하여, 전체를 천(天)·시서(時序)·지(地)·황왕(皇王)·편패(偏覇)·주군(州郡) 등의 55문(門)으로 나누어, 모든 사류(事類)를 망라하고 있다. 각 문은 나아가 유(類)로 나뉘
)과 같이 우리 사료에도 확인되며 그 내용으로 볼 때 가야에 대한 이칭(異稱)으로 쓰였음이 분명하다.또한 함원(翰苑)의 《괄지지(括地志)》를 이용한 부분에서도 가야제국에 대하 ... 여 지총임나(地總任那) 라고 보여 중국사서에서도 임나의 용례가 확인된다. 따라서 임나 는 일본서기에 의한 창작은 아니며 그 관계기사는 어떠한 형태로든 가야지역에서 있었던 역사적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