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도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시작되어, 중세 문학의 유산을 버리지 않고 이용하면서 근대적인 의식을 나타내는 이행기문학 특유의 모습을 보여준다.)즉, 소설이라는 장르를 중세 ... 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으로 설명했을 때,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 그러한 시기는 바로 조선 후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김시습이 그보다도 훨씬 이전에 이미 소설을 마련한 것은 이른바 ... 를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유?불?도교의 사상 속에서 館閣 文學과 處士 文學이 공존하던 과도기에 살면서 방외인 문학)을 형성한 사람이다. 그가 남긴 주요 저서로는 「梅月堂詩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