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매월당 김시습의 금오신화 연구.각각에 나타난 애정양상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목차
I. 서 론 11. 연구 목적 1
2. 연구사 검토 3
II. 본론 10
1. 「金鰲新話」의 애정양상 10
2. 「金鰲新話」에서의 죽음 20
1) 이별의 양태 22
2) 죽음의 의미 31
3) 죽음과 부지소종 36
Ⅲ. 결론 40
□ 참고문헌 43
본문내용
고소설의 선편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이래 「金鰲新話」는 다양한 입장과 방법에 따라 수많은 논의가 이어져 왔다. 따라서 작가론, 작품론, 비교문학적 관점 등의 여러 갈래로 연구의 방향이 나뉜다.작가의 생애나 사상을 작품을 이해하는 데 단서로 삼은 작가론적 입장에 주목한 연구성과는 작품의 내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적절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작가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동일한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하였음에도 논자에 따라 작품에 내재하고 있는 사상 또한 다르게 해석되고 있다. 그러므로 김시습에 대한 작가론에 바탕을 둔 연구성과들은 문학사회학적으로 이 작품의 창작 경위를 확대하여 문학사에 접맥시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鄭炳煜은 관련 기록을 바탕으로 작가의 생애와 사상을 역사적인 상황과 접목시켜서 작자인 김시습을 절의 있고 반항적인 사상가로 파악하였지만, 작가가 생존했던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파악하는 데 만족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鄭鉒東도 정병욱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작가에 대한 인물론과 작품론으로 나누어 방대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고, 李在秀는 작가의 생애를 5기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세세한 언급을 피했다.
참고 자료
곽정식, 「금오신화 소고」,『한국고전소설연구』, 형설출판사, 1997.권순긍, 「금오신화의 비현실성과 매월당의 비극적 세계관」,『성대문학』24, 성균관대, 1985.
김광순, 「금오신화의 연구사적 검토와 쟁점」,『어문론총』33, 한국문학언어학회, 1999.
김명순, 「금오신화의 비극성」,『雨田章鎬列先生古稀紀念論』, 창작과 비평사, 1983.
김열규, 「민속과 민간신앙에 비친 죽음」,『죽음의 사색』, 서당, 1989.
김중술, 『사랑의 의미』, 서울대출판부, 1992.
김진욱, 「금오신화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1997.
노인숙, 「만복사저포기의 삽입시 연구」,『청람어문교육학』22집, 1989.
민영현, 『선과 』, 세종출판사, 1994.
박태상, 『조선조 애정소설 연구』, 태학사, 1996.
박희병, 「전기소설의 장르관습과 금오신화」,『한국전기 소설미학』, 돌베개, 1997.
서재록, 「금오신화의 사상성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1995.
설성경 $박태상,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1986.
설중환, 「금오신화의 신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85.
송창순, 「금오신화의 심층심리 연구」, 수원대학교 석사논문, 1991.
이문규, 「매월당의 문학을 통해 본 금오신화의 기본 의미망」,『선청어문』18, 서울사대, 1989.
이미정, 「금오신화에 나타난 현실인식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8.
이복자, 「금오신화의 우의성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논문, 2004.
이석래, 「금오신화의 전개적 고찰」,『이숭녕박사 頌壽紀念論叢』, 을유문화사, 1968.
이수진, 「금오신화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내세성」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이정우, 「금오신화에 나타난 한의 서사원리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임선희, 「금오신화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3.
임형택,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국문학 연구』3, 서울대학교 국문학연구회, 1971.
장효현, 「형성기 고전소설의 현실성과 낭만성 문제」,『민족문학사 연구』10, 창작과 비평사, 1997.
정창순, 「금오신화의 심층심리 연구」, 수원대학교 석사논문,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4.
최숙인, 「이생규장전 연구」,『이화어문논집』3집, 1980.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국어과]금오신화 연구 13페이지
금오신화 19페이지
금오신화 연구 17페이지
금오신화 연구 19페이지
졸업 논문 작성법과 논문 양식 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