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설명할 수 있다. 이사설은 화엄의 우주관인 사법계(四法界=네개의 흐름계)를 말하는 것으로 사법계(事法界), 이법계(理法界),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 ... )로 나누어진다. 먼저 사법계관을 근거로 이법계관에 들어가고, 다음으로 이사무애법계관에 들어가고 최후로 최초의 사법계를 무애하는 사사무애법계관을 성취하는 것이다.화엄사상의 꽃이 ... 었다. “일체에 걸림이 없는 사람은 단번에 생사를 벗어난다(一切無#애14人 一道出生死).”라고 한 그의 말을 보더라도 그의 무애사상은 짐작된다.그는 부처와 중생을 둘로 보지 않
상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다.理事無碍法界(이사무애법계)진리와 현실세계는 장애가 없다라는 것(이는 둘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산은 물이요, 물은 산이다.事事無碍法界 ... 결론에 도달한다 현실을 긍정적으로 보게 만든다.事法界(사법계)有 : 현재의세계,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理法界(이법계)無 : 진리에서 보는 無, 무아, 무 ... (사사무애법계)∴ 이러한 둘의 구분없이 현실의 것은 모두 하나다.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성철스님)고대국가체제의 정비통합적 기능 - 사법계설, 공(空) : 현실비판의 안목을 무디
으로 장엄된 진리의 세계를 설하고 있는 경이다.이 경전은 붓다가 보리수 밑에서 얻은 깨달음을 내용으로 한다고 한다. 법계(法界)의 연기(緣起)와 연화장장엄세계(連華臧莊嚴世界)의 묘사 ... 신 화엄의 세계를 바탕으로 법계연기의 사상에서부터 시작하여 사종법계, 그리고 그중에서 사사무애법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육상원융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야외 학습을 통해 ... 남산에 가서 화엄의 법계연기를 몸소 체험한 일을 써보았다.Ⅱ. 法界緣起1) 법계연기의 사상법계연기사상은 현실세계의 개개물물이 서로 어떤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가를 설명하는 것이
다.김지견에 의하면 원효의 무애사상은 화엄사상이 그 행위의 기초가 되고 있다고 한다. 화엄경에서는 ‘이치와 사물현상간의 걸림이 없는’ 이사무애(理事無?)와 ‘사물과 사물 간에 걸림 ... 이 없는’ 사사무애(事事無?)의 경지를 말하고 있다. 자기가 깨달은 이치가 나타나고 있는 사물현상과 어긋나지 않은 상태를 이사무애라 하고 사물과 사물이 서로 걸리지 않고 융통 자재 ... 으로 달리던 불교이론을 고차원적인 입장에서 회통시키려 하였는데 그것을 오늘날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이라 부르며 이것은 그의 일심사상(一心思想) 무애사상(無碍思想)과 함께 원효사상
의 현재 때 그러한 것이지, 실은 작고 크다는 것이 아니다. 법성은 시・공간을 초월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동시에 시・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다. (사무애이무애이사무애사사무애 ... 의상스님의 법계도(法界圖)와법성게(法性偈)에 관한 고찰-부제: 미로는 없다? 있다? 미로인 동시에 오로(悟路-깨달음[法]으로 향하는 길)의 기로에 서서…이제 시작합니다.미로 ... 고 헤매며 걸어가는 길, 이것을 우리는 미로(迷路)라 이름한다. 화엄에서의 미로, 그것은 시작과 목적지가 일치하는 매우 특이한 미로이다. 시작점에서 움직이지 않으면(부동하면) 애당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