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면이 있었다.편년체인 『절요』의 체제는 편년적인 정리를 해놓은『고려사』의 세가와 유사한 면이 있다. 두 사서는 모두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을 취하고, 우왕·창왕의 정통성을 부정 ... 하는 것과 함께 공양왕의 경우는 즉위년칭원법(卽位年稱元法)을 취하였다. 그러나『절요』와 세가에는 서로 다른 서술원칙도 존재한다. 그 한 가지는 충숙왕과 충혜왕의 재위기간을 서술
수록하려 노력하였다.3. 서술방식『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마찬가지로 유년칭원법{ 고려시대에는 즉위년 칭원법을 사용했으므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왕대별 편년은 고려 당시 ... 의 기록들과 1년씩 차이가 난다.을 사용하고 있으나 우왕, 창왕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것과 함께 공양왕의 경우는 즉위년칭원법 사용하였다. 하지만 세가와는 다른 서술방식을 보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