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나) 타인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다음의 경우는 자기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이므로 배임죄가 인정되지 않는다.① 매매계약에 있어서 매수인이 매매대금 중 일부를 타인에게 지급 ... 며, 횡령죄와는 일반-특별의 관계에 서 있다.(2) 本質배임죄의 범죄본질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견해가 대립된다.(ㄱ) 권한남용설권한남용설은 배임죄의 본질을 법적 대리 ... , 집달관, 회사대표자), 계약 등의 법률행위(위임, 고용, 임기계약)에 의해 타인 사무처리의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이다. 이 때 대외관계에서 타인의 재산을 처분한 권한을 가진 자가 그
도 아님을 유의하라. 민법전속의 14종의 계약속에서는 매매와 임대차 및 소비대차가 가장 중요하다. 한편 계약법에 관해서는 계약자유의 원칙이 지배한다. 따라서 민법에 규정되지 않 ... 은 새로운 유형의 계약(비전형계약)이 세상에 잇달아 등장한다. 월부판매, 방문판매, 신용카드, 리스 등의 일반화를 보라. 이와 같은 새로운 계약에 관하여는 할부판매법, 방문판매법과 같 ... / (2) 토지의 이용(3) 매매 / (4) 상속[2] 민법 규정의 특색II. 민법의 구조[1] 민법이란 어떠한 법률인가?[2] 민법전의 구성[3] 판덱텐시스템[4] 민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