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 궁 부 연 록※ 학습목표 ※ Ⅰ. 작가의 생애와 금오신화 창작배경 Ⅱ. 금오신화 중「용궁부연록」 주요 내용 및 화소정리 Ⅲ. 「용궁부연록」작품정리Ⅰ. 작가의 생애와 금오신화 ... 를 마땅히 금석에 새겨 以爲弊居之寶(이위폐거지보) : 우리 집의 보배로 삼겠습니다.# 12 : 용궁관람 龍宮勝事(용궁승사) : 용궁의 좋은 일들은 已盡見之矣(이진견지의) : 이미 다 보
, 전쟁을 중요시하여 서술. 또한 사사와 시가를 결합함(6) 『성무친정록(聖武親征錄)』: 칭기스칸대와 오고타이칸대의 기록, 『몽고비사』를 보완(7) 『원조명신사략(元朝名臣事略)』① 저자 ... (1273) 조시(漕試)에 장원급제했지만 부친의 병을 이유삼아 부를 따랐고 성시(省試)에는 나가지 않았다. 음보(蔭補)로 승사랑(承事郞)이 되었다. 가학을 이어 조경(漕涇)에 종사
에서 그는 승사랑(承仕郞)을 제수받고, 쌍성등지(雙城等地)의 고려 군민(軍民)을 관할하는 달로화적(達魯花赤)이 되었다. 이곳에서 그는 등주(登州-안변) 호장(戶長) 최기열(崔基烈 ... 得培)의 휘하에 종군,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워 2등 공신(二等功臣)에 책록되었다. 우왕 14년 요동정벌(遼東征伐) 때 팔도도통사조전원수(八道都統使助戰元帥)로 우군통제 ... 사(右軍統制使)인 이성계(李成桂) 휘하장수로 출전하였다. 1392년 조선 개국 후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지고 개국공신(開國功臣) 2등(等)에 책록되었다.이화(李和)는 이성계(李成桂
卷之二 入集 傳忠錄 中2권 전충록 속에 들어가 모여있다.[神氣存亡論 十二]12 신기존망론經曰: 得神者昌 失神者亡.경왈 득신자창 실신자망.내경에 말하길: 신을 얻으면 창성하고 신 ... .재이치법언지 범약식입위 소이능승사자 필뢰위기시포약력 시능온토한하이축기사.다시 치법으로 말하면 약식이 위에 들어가면 사기를 이길 수 있으니 반드시 위기가 약력을 시행하고 산포
에서 얻은 견문과 소감을 적은 기행 문학의 한 형태로 기사(起詞), 승사(承詞), 전사 (轉詞), 결사(結詞) 등 4단계 구성과 서사(序詞), 본사(本詞), 결사(結詞)의 3단계 구성 ... 가사중 국내 기행 가사로는 출새곡(出塞曲), 관동속별곡(關東續別 曲), 금당별곡(金塘別曲), 금강별곡(金剛別曲), 부여로정기(扶餘路程記), 향산록(香山錄) 등 이 있고, 이중 ... 향산록(香山錄) 만이 서민가사이다.국외기행가사인 사행가사(使行歌辭)로는 연행별곡(燕行別曲), 연행가(燕行歌), 일동장유가 (日東壯遊歌)등이 있다.2. 일동 장유가(日東壯遊歌)1
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그리하여 김인겸의 「일동장유가」와 더불어 조선전기의 양반가사를 계승하는 대표적인 후기 가사작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 「北轅歌(북원가)」, 「北轅錄(북원록 ... 되어 있다.1단계 기사 : 여행 동기와 행장 28구2단계 승사 : 목적지인 연경까지의 노정과 소감 1544구3단계 전사 : 연경에서의 생활과 경험, 소감 2020구4단계 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