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1)
  • 리포트(22)
  • 논문(9)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譯語類解" 검색결과 21-31 / 31건

  • [국어국문]국어사,근대국어
    방언 반영.④ 명의록언해(明義錄諺解)(3권, 1777) : 궁중의 특수어를 보여준다.⑤ 역어유해보(譯語類解補)(1775) : 한학서(漢學書)⑥ 개수첩해신어(改修捷解新語)(1748 ... 으로서, 않고 정조 연간의 중간본만 전한다. (규장각 소장)⑧ 왜어유해(倭語類解) : 간행 연대와 저자가 확실치 않으나 대략 18세기 초엽, 홍순명(洪舜明)의 작으로 추정.⑶ 18세기 ... 은 현재 전하지 않고, 그 개간본으로 이들이 전한다. (대영 박물관 소장)⑧ 동문유해(同文類解)(2권, 1748)⑨ 한청문감(漢淸文鑑)(15권) : 한어(漢語), 청어(淸語
    리포트 | 1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16
  • [국어사]근대국어
    ) : 궁중의 특수어를 보여준다.5 역어유해보(譯語類解補)(1775) : 한학서(漢學書)6 개수첩해신어(改修捷解新語)(1748) : 왜학서(倭學書), 그 중간본(1781)이 간행.7청어 ... 한 倭語類解) : 간행 연대와 저자가 확실치 않으나 대략 18세기 초엽, 홍순명(洪舜明)의 작으로 추정.3 18세기1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1729), 이륜행실도(二倫行實 ... 박물관 소장)8 동문유해(同文類解)(2권, 1748)9 한청문감(漢淸文鑑)(15권) : 한어(漢語), 청어(淸語), 국어(國語)의 사전으로 청나라 증정청문 감(增訂淸文鑑)을 대본
    리포트 | 1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2.22
  • [국어변천사]17세기 근대국어어휘 특징
    譯語類解』이후의 만주어 학습서인『淸語老乞大』,『漢淸文鑑』,『同文類解』등 여러 역학서에서 이전 시대에 없던 새로운 어휘를 찾아볼 수 있다.가리(갈비), 가림자(가리마), 가얌(개암 ... (共和國)일본어로부터의 영향을 잘 나타내주는 문헌으로 『捷解新語』가 있다. 첩해신어의 국어 번역문에는 일본어에서 온 한자어가 다수 보인다.氣遣?오니多分 ?가 올 거시니 遠見의 무러 보 ... ?소正官의 氣相도 아디 몯?고正根을 계요 ?혀石之道理 心得?고아므려나 思合?셔제시된 단어들은 일본어에서 한자로 표기되기는 하지만 훈독되는 일본 고유어들이다. 일본어 학습서인『捷解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3.28
  • 우리말과 외래어의 올바른 사용
    하고 있다.그러면, 고문헌에 나타나는 ‘복숭아뼈’에 대한 부분을 알아보면, ‘복쇼아뼈<譯語類解>’, ‘복쇼아???’ 등이 나타난다.한편 고문헌에 나타나는 ‘桃’에 대한 부분은 ‘복숑와
    리포트 | 6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08.06.05 | 수정일 2024.06.28
  • [국어음운] 중세 이중모음의 발음
    에서> ㅡ예2) 박통사언해(17세기후반):어두의> ㅏ譯語類解 (17세기 후반):同文類解 (18세기 중엽):漢淸文鑑:綸音(18세기 후반)이러한 예에서 ''''는 실제적인 발음은 없어졌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7.14
  • [국어국문] 중세국어 자료 (계림유사·조선관역어·향약구급방·향약집성방)
    鷄林類事·朝鮮館譯語·鄕藥救急方·鄕藥集成方國/語/學/史1. 鷄林類事(1) 編纂중국 송(宋)나라 外交官(宋대에 고려국 신서장관(信書狀官)으로 왔었음)인 손목(孫穆)이 12세기 초 ... 항(順治版, 1647)을 가려 한(漢)·한대역 어휘집(韓對譯語彙集)으로 엮은 것이다.(2) 傳來본래 『鷄林類事』는 3권으로 土風·朝制·方言의 3部와 附錄의 表文集으로 되어 있던 것 ... 는 있다. '역어(譯語)' 부분도 판본에 따라 어휘배열 체제가 다르나 대부분은 '方言'이라고 작은 제목을 쓴 밑에 '천왈한날(天曰漢捺)'로 시작하여 '천왈이저(天曰 低)'로 마친다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6.15
  • [국어사] 중세국어자료정리
    1.『鷄林類事』『鷄林類事』는 中國 宋代의 孫穆이 著作한 것으로, 그 중에「고려방언」350餘項이 포함되어 있어, 國語의 歷史的 硏究의 중요한 資料가 되어왔다. 本書는 그 原本은 전 ... 吏讀로 표기하는 한자 사용법 考證에 있어서도 귀중한 문헌이다.3.『朝鮮館譯語』『朝鮮館譯語』는「華夷譯語」속에 들어있는 中國語와 國語의 對譯 語彙集이다.「華夷譯語」란 한마디로 말해서 ... 明代 初葉에 걸쳐 淸代 中葉에 걸쳐 中國에서 編纂된 중국어와 隣近諸語의 대역 어휘집의 總稱이다.「華夷譯語」는 그 系統이 매우 複雜하지만 대체로 네 계통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7.01
  • [의미론]여성 관련 어휘의 어원과 의미
    를 보인다. ‘女兒’와 비교해 보면 ‘女’는 분명 일반화된 의미인데 16세기 이후 ‘女’라는 의미도 지닌 것으로 보인다. ‘갓나?’의 의미 변화는 더 확장된다.養漢的 ?나희 〈譯語類解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12.14 | 수정일 2014.10.17
  • 고려시대 어휘자료연구
    자기가 직접 듣고 익힌 고려의 土俗과 言語 356항(順治版, 1647)을 가려 한(漢)·한대역 어휘집(韓對譯語彙集)으로 엮은 것이다.(2) 傳來본래 『鷄林類事』는 3권으로 土風 ... 부터 시대의 변천의 함께 발달되어 온 여러 표기법을 반영 하는 것으로 13세기 중엽까지 이어져 내려온 鄕札의 표기법을 보여주는 것이다.▶鄕名表記의 解讀향명(鄕名) 이란 우리나라 고문헌 ... 음은 물론, 우리의 所期의 숨겨진 정연한 借字表記 體系와 그 活用法則 등을 하나하나 밝혀낼 수 있다고 믿어진다.鷄林類事(1) 編纂중국 송(宋)나라 外交官(宋대에 고려국 신서장관(信書狀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4.18
  • 한국의부엌
    이 처음 나타난 문헌은 1481년에 나온 『두시언해(杜詩諺解)』초간본으로 여기에는 '브힝'으로 올라 있다. 이보다 60년쯤 뒤에 나온 1690년의 『엮어유해(譯語類解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11
  • [국어문법] 동화(assimilation)에 관하여
    세기에 대폭적인 변화가 보임)※[역어유해(譯語類解)](1690)에 처음으로 원순모음화가 보임1.2 현대어 :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수의적 현상으로, 순음 '가, 가. 가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6.16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